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경의 제작과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 -중국 문헌 자료에 나타난 유리 제작을 중심으로- (Glasses Making and Indian Ocean Trade Network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glass in Chinese literature dat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9.05
38P 미리보기
안경의 제작과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 -중국 문헌 자료에 나타난 유리 제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35권 / 265 ~ 302페이지
    · 저자명 : 한지선

    초록

    안경은 복합적 기술과 지식의 산물로 다양한 물산을 병합한 결과물이지만 특히 유리 제작 기술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은 고대부터 독자적인 유리 제작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납유리는 불투명해서 안경렌즈에 합당하지는 않았다. 송대 중국에는 광학지식과 함께 아랍의 유리제품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10세기 무렵 인도양 교류 네트워크를 장악했던 아랍은 수정과 같은 맑고 내구성 있는 유리제품의 제작과 수출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점하였다. 아랍이 유리 제작에서 이룬 성과는 인도 혹은 벵골 등으로 연결되는 문명권역과의 교류에서 확보된 자산이었다. 붕사의 유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곳은 사천과 운남, 티벳 등지이지만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유리 제작 기술을 주도한 것은 아랍이었다. 아랍은 유리 제작에서 붕사를 활용하여 유리의 내구성과 투명도를 높였다. 독일어로 안경을 의미하는 브릴러(brille)라는 말은 그리스어 베릴로스(Beryllos), 아랍어 Billur(水晶) 등 녹주석의 보석 이름에서 전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랍의 유리로 알려진 玻璃(bori)나 붕사(borax) 역시 독일어 브릴러의 어원과 관계가 있었다. 파리나 왜납 등의 유리 제품들의 보급과 함께 인도양 곳곳에서는 유리 관련 공통의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이것은 13세기 해양과 육상이 광범위하게 연결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상품과 정보의 에너지에 추동되고 움직이는 이 광역적 문명공간이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에 의해 출현한 ‘인도양 세계’이며 이 공간이 바로 안경이 제작된 요람이었다.

    영어초록

    We have been focusing on identifying where the center of eyeglasses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through bibliographical information. However, eyeglasses are results of converging complicated technologies and knowledge with diverse materials. Due to the complexity, when they are manufactured on the spot, materials to be acquired and technological limit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y are simply copied, they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n not be faithful to their original functions as they have peculiar shapes and mass.
    Therefore, to identify the center of eyeglasses manufacturing, this study considered technological information relating to composition and general conditions including manufacturing of glass as a material of lens, and classified and examined glass manufacturing, development of optics, use of lens, and problems on eyeglasses manufacturing based on Chinese historical records.
    China had independent culture in glass manufacturing. However, as its lead glass was opaque, it was not suitable for lens of eyeglasses. Arabia had a special technology of glass manufacturing. It was that borax can make glass have more durability.
    The achievements of the Arab glass production would have been the assets gained from the interaction with civilizations linked to India or Bengal. Sichuan, Yunnan, India and Southeast Asia formed a special culture in the distribution of borax and the production of glass. Having dominated the Indian Ocean network, the Arabs were able to absorb extra information in glass making.
    Arabic glass manufacturing technology at that time deserves attention in that glass that was used for eyeglasses making must have high transparency and endure usual shocks.
    ‘Brille’ that meas lens of eyeglasses or spectacles in German was evolved from ‘Beryllos’ in Greek, Billur in Arabic or Balungr and Beryl in Hindi. Beryllos or Beryl is a rough stone of beryllium(element number 4) and indicates variants of all colors except emerald green and aquamarine blue in beryl variants.
    However, in addition to beryl, ‘bori(玻璃)’, which was one of the kinds of glass in medieval China, can also be a source of ‘Brille’. ‘bori(玻璃)’ products were made of special glass with high transparency from Arabia and India. Although sodium glass had more transparency than lead glass of China, eyeglasses made of Billur which was made in India and Arabia and called pseudo-crystal in Arabia had much more strength and durability than sodium glass. It seems that glass products made in Arabia were called crystal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had a specially dominant position in eyeglasses ma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