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도의 기억과 문학적 상상의 지향 - 『崧陽耆舊詩集』에 대한 小考 (A study of recollection of Songdo and orientation of literary imagination - a Brief study on 『Soongyangkiku poem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5.02
37P 미리보기
송도의 기억과 문학적 상상의 지향 - 『崧陽耆舊詩集』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0권 / 40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승룡

    초록

    이 논문은 김택영(金澤榮)의 『숭양기구시집(崧陽耆舊詩集)』에 보이는 송도(松都)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택영은 일찍이 『숭양기구전』을 통해 송도인의 면모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한 바 있다. 이 시집은 그와 짝을 이루는 편서로서, 송도인 61인의 시 337수를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은 본래 17세기 마권(馬權)이 편집했던 『송경풍아(松京風雅)』를 바탕으로 김택영이 보완하여 편간한 것이다. 『송경풍아』는 간행되지 못했었다. 『숭양기구시집』은 당대 송도의 지식인 및 자산가들이 결합하여 ‘동간(同刊)’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송도의 기억과 형상에 특정한 지향성을 부여했다. 『숭양기구시집』에 수록된 시를 스케치해보면, 송도는 청신(淸新)한 공간으로서 그 안에서 학문하는 지식인의 모습이 떠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결론은 아직은 인상적(印象的) 스케치에 불과하다. 『숭양기구시집』은 물론, 송도를 노래한 한시들에 대한 전면적 대조 및 분석을 통해, 송도의 기억과 형상이 시대마다, 작가마다 어떤 지점에서 나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look back on the recollection of Songdo and aspects of literary form which could be seen by 『Soongyangkiku poems(崧陽耆舊詩集)』 written by Kim Taek-Yong. Kim Taek-Yong had early taken a view of Songdo people's aspect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Soongyangkiku biography』. As edited work matching with that, This poetical works included three hundred thirty seven poem of sixty one Songdo people. In fact, This work was originally supplemented and published by Kim Taek-Yong based on 『Song gyeong poong-a(松京風雅)』 which edited by Ma Quan(馬權) in seventeenth century. 『Song gyeong poong-a』 didn't published yet. Intellectuals and rich men of contemporary Songdo had united and "published 『Soongyangkiku poems』 together(同刊)" By doing so, they gave specific orientation to memories and aspects of Songdo. As sketching the poem included in 『Soongyangkiku poems』, we could find Songdo as a new and fresh space where the appearance of studying intellectuals is coming up. However, this conclusion is still remained a memorable(印象的) sketch. Naturally 『Soongyangkiku poems』 need to be examined which memories and figures of Songdo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periods and authors through outright contrast and analysis of chinese poem which singing Song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