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남양군도 지배와 얍 지역에 건너간 조선인 (The Japanese Rule of the South See Islands & Koreans : the Japanese Community in Yap Island and the Adaptive Strategy of Korean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8.03
22P 미리보기
일본의 남양군도 지배와 얍 지역에 건너간 조선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2권 / 1호 / 167 ~ 188페이지
    · 저자명 : 조성윤

    초록

    이 글에서 나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남양군도의 얍 섬에 가서 활동했던 가족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들을 통해 당시 조선인들이 남양군도의 일본인 사회에 어떻게 적응하면서 살아갔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사례로 선택한 가족은 태평양 전쟁 기간에 강제 동원되었다가 고난을 겪었던 조선인들과 달리 취업 기회를 찾아서 스스로 남양군도로 가서 사업에 성공한 경우이다. 이 사례 연구는 인터뷰와 현지조사, 그리고 관련 문헌 조사를 대조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얍에서 살았던 가족 구성원의 생활을 재구성하였다.
    당시 남양군도에서는 야자열매, 또는 열매의 배아 부분을 말린 코프라를 생산하는 것이 수익이 좋은 산업이었다. 이 가족은 얍의 중심지 콜로니아에서 상점을 열어 놓고 야자열매 수집 상인으로 활동하였다. 부부가 서로 협력하게 되면서 부를 축적하는 속도가 빨라졌고, 나중에는 요릿집까지 개업하였다. 코프라 중매가 주로 원주민들을 상대로 하는 장사였다면, 요정은 일본인들, 그것도 지역 사회에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권력자들을 상대로 하는 장사였다. 그러므로 현지의 일본인 사회에 적극 협력하면서, 조선인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기보다는 오히려, 일본 이름인 통명(通名)을 사용하고, 일본인들이 즐겨 입는 옷을 입고, 일본인들 사이에서 사이좋게 지내는 데 힘을 쏟았다.
    이들은 현지 주민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야자열매를 수집하는 사업을 했고, 한편 일본인 공동체에도 적응하면서 요릿집까지 개설하여 경제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사례를 통해서 본 남양군도로의 이민은 조선인에게는 성공을 위한 길이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history of a Korean family who lived in Yap island of the south sea isla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 will provide review of adaptive strategy of Koreans who were part of the Japanese community.
    There, they opened a store and did the work of collecting Copra from the locals. Copra is the white part inside a coconut and the part was used as base material of many products including cosmetics. At the time, Copra collection was a very profitable business. When the locals brought him coconuts, he would give them product from the shop as a return. A Japanese businessman who have made contract with him would then take the coconuts and deal with them. In the late 1930s, they opened restaurant in Yap island and became a successful businessman who rubbed shoulders with Japanese. In 1940, he came back to Jeju island and escaped the pacific war.
    Different from other Koreans who went into forced mobilization after the outbreak of Pacific war, this case was one that was successful through business after migrating to the south sea islands. In order for Korean to succeed at the time, they had to receive recognition from Japanese society living in the region and had to get into their network. At the same time, they needed to establish solid relationship with the locals.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South See Islands was the gateway to success for the for the colon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