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Imperial War and Colonial War Literature: Planning and Translation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 Focused on Barley and Soldiers by Hino Asihe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9.08
42P 미리보기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8호 / 115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상경

    초록

    이 논문은 히노 아시헤이의 중일전쟁 종군기인 『麥と兵隊』가 당시 세계 20여개 국어로 번역되었는데 식민지 조선에서처럼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가 번역 출판을 기획하고 조선총독부의 노련한 일본인 검열관이 번역을 맡아서 출간한 예는 없다는 데 주목하여 그 이유와 의미를 밝혔다. 미국에서 출간된 영어본은 펄벅의 부정적 서평을 일본 신문이 긍정적인 것으로 왜곡 소개하면서 ‘세계성’을 입증하는 데 이용되었다. 중국어본은 중일전쟁의 현장인 상해에서는 전쟁의 실상과 적군의 동향을 짐작하는 자료로 번역되었고 일본 제국의 비공식적 식민지였던 만주국에서는 국책 기관의 기획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번역을 잘할 수 있는 일본 유학생 출신 문인이 많이 있고 경영난을 겪고 있던 출판사 역시 많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검열관이 『보리와 병정』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것을 조선총독부가 직접 발행하여 염가로 뿌렸다.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는 것, 당시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이 이런 전쟁동원문학의 번역에 나서지 않고 우회적으로 저항하고 있었기에 할 수 없이 조선총독부와 검열관이 나서서 번역 출판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한글본 『보리와 병정』이 동아시아 문학에서 가진 독특한 위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저항의 흔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장』지의 전쟁문학 관련 지면이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무한 삼진도 함락된 후인 1939년 2월 창간된 『문장』지는 ‘전선문학선’ 특집을 이어갔는데 히노 아시헤이의 「土と兵隊」, 「花と兵隊」의 일부를 비롯하여 일본 작가의 종군기, 전쟁보고문학을 조금씩 발췌 소개하면서 거기에 슬쩍 중국쪽 작가가 쓴 전쟁 관련 글을 끼워 넣었다. 또 『보리와 병정』을 기화로 벌어진 ‘전쟁문학’ 논의를 빌어 중국의 ‘반전(항일)’ 작가의 근황을 소개하거나 훌륭한 전쟁문학이란 반전문학이거나 아예 전쟁과의 관련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비전(非戰)문학이라는 식의 전쟁문학론을 싣기도 했다. 『문장』이 ‘순문학’, ‘조선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억압적 문예정책에 동원되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피하려고 했던 하나의 증거이다.

    영어초록

    Hino Asihei's Mugi to Heitai (Barley and Soldiers) was translated into more than 20 languages at the time. Hino Asihei published the work while participating in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erving as a soldier. In the colonial period, the Joseon Governor-General, planned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work, and it was translated by a veteran Japanese cens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situation. This study revealed its reasons and meaning with a critical mind on this exceptional situation. In colonial Korea, the Korean writers did not intend to translate such war mobilization literature. That's why a Japanese censor was forced to translate it under the title Boriwa Byeongjeong. This book was also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sold at a low price.
    This is an indirect resistance by writers. It is the pages related to war literature in the Journal Munjang that revealed the traces of this resistance. Founded in February 1939, the Journal has continuously organized a special "War Literature Anthology." There were some reportage, mainly written by Japanese writers, which has been excerpted and published. Although the number of works was small, the Journal also put in some war-related articles written by Chinese writers and an introduction to China's anti-war author's recent situation. There were some articles which claim to be anti-war or non-war literature that intentionally avoids any connection with war. This is a few evidence that Munjang have been to avoid being mobiliz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repressive literary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