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정희의 친일 소설 깊이 읽기—「야국초」와 「장미의 집」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Deep Reading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Short Stories —Focusing on Text Analysis of ‘Yagukcho[野菊抄]’ and‘Rose House[薔薇의 집]’—)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12
40P 미리보기
최정희의 친일 소설 깊이 읽기—「야국초」와 「장미의 집」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4호 / 111 ~ 150페이지
    · 저자명 : 박상준

    초록

    본고의 목적은 최정희의 일제 말기 친일 소설을 치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깊이 다시 읽음으로써 그 미학적인 특징을 규명하고, 본고가 구사한 방식이 친일문학 여부를 판단하는 소설 미학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데 마중물이 되도록 제시하는 데 있다.
    최정희 친일 소설의 경계와 특징에 대해서는 학계의 합의가 있어 온 편인데, 이 맥락에서 문제시되는 것은 두 가지이다. 「밤차」와 「천맥」을 친일 소설로 보는 일부의 규정이 하나인데, 소략한 검토를 통해서나마 그렇지 않음을 밝혔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장미의 집」과 「야국초」의 친일문학적인 특성을 약화시키는 영향력 있는 논의이다. 「장미의 집」을 페미니즘적으로 읽으면서 친일적인 내용을 도외시하는 극단적인 경우가 있고, 「야국초」를 섬세하고도 풍요롭게 읽으면서 친일문학 규정이 과하다고 주장한 예가 있다. 이 두 편의 소설에 대한 객관적인 소설 미학적 분석을 통해 그러한 주장들이 잘못되었음을 규명한 것이 본고의 주된 작업을 이룬다.
    최정희의 친일 소설은 「야국초」와 「장미의 집」에, 「환의 병사」, 「2월 15일의 밤」, 「여명」, 「징용열차」 네 편의 소품이 더해져 총 6편이다. 이들 소설은 여성에 주목해 온 최정희 소설의 특성을 유지하되 그 핵심에 있어 여성성, 모성에서 군국의 모성으로 전화하여 친일문학계에서 나름의 몫을 확보한다. 이들 소설은 친일적인 주제를 드러내는 데 있어서 손쉬운 형식을 취하고, 소설 미학적으로 볼 때 구조적인 결함을 보이며, 소품이 많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런 특징은 최정희가 상황의 변화를 인정한 위에서 일제의 시책에 자발적으로 충실하게 부응한 결과로 보인다.
    「야국초」와 「장미의 집」을 중심으로 일제 말기 최정희 소설의 친일문학적인 성격을 소설 미학적인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밝히면서 이러한 결론을 이끌어 낸 데 본고의 의의가 있다. 본고의 분석 방법이 향후 친일문학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키는 데 시금석 역할을 하게 된다면 이야말로 본고의 궁극적인 의의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short stories in the 1940s by rereading them through strict text analysis and to present the analysis method of this paper as an academic method for judging whether a work is pro-Japanese literature.
    The boundaries and characteristics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have generally reached consensus within academic circles, but two issues remain contentious in this context. One is the classification of ‘Night Train(밤車)’ and ‘Cheonmaek(天脈)’ as pro-Japanese works, which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o be unfounded through a brief text examination. The more significant issue, however, concerns influential discussions that downplay the pro-Japanes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Rose House[薔薇의 집]’ and ‘Yagukcho[野菊抄]’. In extreme cases, ‘Rose House’ is read through a feminist lens, overlooking its pro-Japanese elements, while ‘Yagukcho’ is analyzed in a nuanced and rich manner, with arguments suggesting that labeling it as pro-Japanese literature is excessive. The main task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rough objective aesthetic analysis of these two short stories, that such claims are erroneous.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includes ‘Yagukcho’ and ‘Rose House’, along with four shorter works: ‘The Soldier of Illusion(幻의 兵士)’, ‘The Night of February 15(2月15日の夜)’, ‘Dawn(黎明)’, and ‘The Forced Labor Train(徵用列車)’, totaling six works. These pro-Japanese short stories maintain the characteristic of focusing on women, but at their core, they transform femininity and motherhood into the ‘motherhood of the military state’. This is where Choi Jeong-hui’s pro-Japanese works secure their place in the pro-Japanese literary world. These short stories take too casual a form of revealing pro-Japanese themes and show structural defects in terms of novel aesthetics. Another characteristic feature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is that there are many morceaux. These characteristics seem to be the result of Choi Jeong-hui’s voluntary and faithful response to the Japanese colonial policies.
    Focusing specifically on ‘Yagukcho[野菊抄]’ and ‘Rose House[薔薇의 집]’, this paper academically elucidates the pro-Japanese literary characteristic of Choi Jeong-hee’s short stories through an aesthetic analysis of them, ultimately drawing significant conclusions above mentioned. If the analytical approach of this paper serves as a touchstone for advancing future research on pro-Japanese literature, it would constitute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