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기 이전 상키야 철학에 대한 Yuktidīpikā 저자의 역사 인식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Yuktidīpikā-Kāra about Pre-classical Sāṃkhya Syste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고전기 이전 상키야 철학에 대한 Yuktidīpikā 저자의 역사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7호 / 73 ~ 103페이지
    · 저자명 : 강형철

    초록

    본 논문은 Sāṃkhyakārikā의 주석서인 Yuktidīpikā의 서두 게송에 담긴 고전기 이전 상키야 철학의 역사적 기록에 관한 분석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 Sāṃkhyakārikā가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 거의 전하고 있지 않은 반면에, Yuktidīpikā는 수많은 선대 논사들의 단편들을 인용한다. 그 중에서 Yuktidīpikā의 서두 게송(ārambhaśloka)에 나타난 내용에 주목하여, 거기서 확인되는 저자의 역사 의식을 살펴볼 것이다.
    서두 게송에서는 4가지 문헌을 구분하여 서술한다. (1) 상키야의 개조인 Kapila가 Āsuri에게 전한 교의서(tantra), (2) 그것을 성인들이 제자들을 위해서 요약한 소책자(alpagrantha), (3) 스승들이 반론자들에 대항하여 조성한 사유의 밀림인 Ṣaṣṭitantra, 그리고 (4) 그것을 압축한 Sāṃkhyakārikā이다.
    YD의 저자는 다른 주석가들과는 달리, Kapila가 저술한 tantra가 있었다고 파악하며, ṢT의 저자가 Pañcaśikha가 아니라 다수의 저자에 의해서 형성된 문헌으로 본다. 또한 Sāṃkhyakārikā의 권위를 Ṣaṣṭitantra와의 연관성에서 확보하고자 했던 Īśvarakṛṣṇa의 의도를 넘어서서, Kapila의 교의서의 내용을 온전히 담은 논서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상키야의 초기 역사에 관한 한, YD의 저자는 SK의 다른 주석가들과 궤를 달리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Pre-classical Sāṃkhya literature portrayed by Yuktidīpikā-kāra, the unknown author of the Yuktidīpikā. The Yuktidīpikā opens with Ārambhaśloka(beginning stanza, introductory verses) that narr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Sāmkhya literatures from the Kapila’s tantra to the Sāṃkhyakārikā of Īśvara-kṛṣṇ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Yuktidīpikā-kāra's perspective about early history of Sāṃkhya and his underlying motive to describe genealogy of Sāṃkhya literature. At the outset, in the present paper, it is imperative to perform textual observations on Ārambhaśloka of the Yuktidīpikā.
    Chakravarti(1951/1975), the first editor of the Yuktidīpi-kā(published in 1938) reports that Kapila is credited with authorship of Ṣaṣṭitantra(『六十科論』, System of Sixty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uthor of the Yuktidīpikā in Ārambhaśloka. But I think it should be viewed with reservation, and this point is worth considering for the sake of historical perspective of Yuktidīpikā-kāra.
    Consequently, Yuktidīpikā-kāra looks at three topics differently from other commentators on the Sāṃkhyakārikā.
    Firstly, Yuktidīpikā-kāra believes that Kapila wrote the great textbook(mahat tantram) for Āsuri, the first and only disciple of this sage. So that he thinks that "tantra", a technical term in the Sāṃkhykārikā(70d) and Ārambhaśloka of the Yuktidīpikā means "textbook" or "treatise", equal to "śāstra". This is opposite opinion about views of other commentaries. As for most of commentators, this term means "philosophical system[of Kapila]".
    Secondly, Yuktidīpikā-kāra thinks of the Ṣaṣṭitantra as a text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so-called ācāryas. In Sāṃkhya tradition, it was the generally accepted fact that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āṃkhya was expanded by Pañcaśikha. And furthermore, a number of commentaries on the Sāṃkhyakārikā regards Pañcaśikha as the author of the Ṣaṣṭitantra.
    Finally, Yuktidīpikā-kāra explains that the Sāṃkhyakāri-kā is, like an image of mirror, possessed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Kapila's great textbook, not of the Ṣaṣṭitantra. More to the immediate point, he intends to organize authori-ty of the Sāṃkhyakārikā, or to create new authority type by means of finding a connection between Kapila's text and the Sāṃkhyakārik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