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잔 운동이 세계 선교에 끼친 공헌과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The Contributions of the Lausanne Movement on World Mission and the Path of the Korean Churches that Need to be Achieve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1.02
33P 미리보기
로잔 운동이 세계 선교에 끼친 공헌과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27호 / 109 ~ 141페이지
    · 저자명 : 안희열

    초록

    로잔 운동은 ‘복음주의 선교 운동의 플랫폼’과 같다. 현대 선교신학이나 선교 전략 그리고 오늘날 사용되는 선교학계의 대다수의 자료가 로잔 운동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로잔 운동이 중요하다. 감사한 것은 2010년 10월 16일부터 25일까지 남아공 케이프타운(Cape Town)에서 제3차 로잔 대회가 열렸다. 3차 로잔 대회의 주제는 “세상과 자신을 화목케 하시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이다. 그리스도는 유일한 화목자시며, 그리스도만이 진리이시며, 그리스도만이 복음의 안전성이 되신다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이 세상은 끊임없는 기독교 박해와 탄압, 주변 국가 간의 전쟁, 내전, 자연 재해, AIDS, 생태계 파괴, 도시화에 따른 빈부 극차 등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죄로 죽을 수밖에 없던 우리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가까워졌듯이 그리스도 역시 세상과 화목하시기를 원하시는 것이 제3차 로잔 대회의 메시지이다.
    사실 로잔 운동은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목사가 WCC의 급진적 선교관에 대항하기 위하여 복음주의 선교대회를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한 것에서 비롯된다. 1차 로잔 대회의 특징이라면 ‘선교=복음 전파+사회적 책임’이라는 통전적 선교 개념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하지만 복음 전파가 항상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 순위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자들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에 관심을 갖도록 한 것은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2차 로잔 대회는 랄프 윈터 박사가 1970년대 후반에 주장한 미전도 종족 개념이 강조되었다. 종전의 추수 이론과는 반대되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아직도 복음을 전혀 접하지 못한 종족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큰 도전과 헌신을 불러일으켰고, 이것은 전방 개척 선교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교회가 1974년 제1차 로잔 대회에 참여할 당시는 그저 ‘구경꾼’에 불과하였다. 당시 한국 선교는 걸음마 단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후 2차 로잔 대회가 1989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렸을 때는 로잔 대회가 한국 교회로 하여금 ‘눈에 비늘을 벗기게 해 준 귀한 대회’였다. 왜냐하면 1990년까지 1천 명밖에 안 되던 선교사가 1989년부터 실시된 해외 여행 자율화로 단기 선교가 급증하면서 한국 교회로 하여금 세계 선교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주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한국 교회는 2만 명이 넘는 선교사를 파송하게 되었고, 선교 단체도 급격히 늘어났으며, 선교 전문가도 많이 배출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번 3차 로잔 대회에서 한국 교회는 적극적인 ‘참여자’로 참가하였다. 인적으로도 물적으로도 큰 공헌을 하였다. 바라기는 제4차 로잔 대회가 열릴 때는 한국 교회가 이 단계를 넘어서서 세계 선교의 ‘주도자’(leader)가 되길 바란다. 그래서 한국 교회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 “선교의 꽃은 사람을 키우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젊은 일꾼들을 많이 길러 내어 훗날 세계 선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Lausanne Movement is like a ‘platform of evangelical missionary movement’ because it has produced contemporary theology of mission, missionary strategies, and important documents that today missionary academic circles have used. That is why the Lausanne Movement is so significant. Thankfully, the 3rd Lausanne Congress was held in Cape Town, South Africa, from October 16th until 25th last month. The title of the 3rd Lausanne Congress is “God in Christ, reconciling the world to himself.” It reconfirms the fact that only Christ becomes a reconciliator, the truth, and the security of the Gospel. Because of Christian persecution and oppression, war among the neighboring nations, domestic warfare, natural disaster, AIDS, ecological destruction, the gulf between rich and poor due to urbanization, the world has seriously suffered. Like human beings are closed to God due to the precious blood, Christ also wants to reconcile the world. This is the message the 3rd Lausanne Congress emphasizes.


    In fact, in order to strive against radical missionary outlook of WCC, Billy Graham held the 1st Lausanne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in Lausanne, Switzerland, 1974. Especially, the 1st Congress presented wholistic mission which means ‘mission=soul winning+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it stresses that soul winning is always superior to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 was better than expected because the 1st Congress made evangelical groups have an ardent interest in social responsibility. The 2nd Lausanne Congress placed emphasis on the term of an unreached people that Dr. Ralph Winter had insisted in the late 1970s. This was a totally different strategy from harvest theory of the past. Dr. Winter laid stress on evangelizing an unreached people who has never heard the Gospel. This provoked great challenge and devotion, and then activated frontier mission.
    When the Korean churches participated in the 1st Lausanne Congress, they were nothing but ‘spectators.’ After that, when the 2nd Congress was held in Manila, Philippine, 1989, it assisted the Korean churches to open eyes how to join in world mission. To tell the truth, the Korean churches had sent less than 1,000 missionaries until 1990. But after foreign travel self-control was passed in 1989, short-term missionary has rapidly increased. Hence, the 2nd Congress helped the Korean churches make a clear blueprint toward global mission. After 1990, the Korean churches have sent more than 20,000 missionaries until now, missionary society has rapidly increased, and missionary professionalists have greatly been produced. The Korean churches joined as a positive ‘participant’ in the 3rd Lausanne Congress. They make a great contributions on bo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donation of fund in the 3rd Congress. The writer expects that the Korean churches will become the ‘leader’ of global mission in 4th Lausanne Congress. Consequently, the Korean churches have to build up new leaders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