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스테리야-부프>에 나타난 종말-혁명-유토피아 (Тhe Apocalypse-Revolution-Utopia in Misterija-buff)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8.03
33P 미리보기
&lt;미스테리야-부프&gt;에 나타난 종말-혁명-유토피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硏究 / 34권 / 1호 / 115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은희

    초록

    본 논문은 V. 마야콥스키의 ꡔ미스테리야-부프ꡕ에 나타난 종말론-혁명-유토피아의 제 양상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ꡔ미스테리야-부프ꡕ는 홍수로 세상이 완전히 붕괴된 상태에서부터 혁명을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대홍수로 표상되는 종말론적 사유가 혁명의 출발점이 된다. 이렇듯 마야콥스키가 종말론적 사유와 혁명을 연결시킨 것은 소비에트 혁명의 필연성과 혁명의 존엄성을 설파하기 위한 전략이다. ꡔ미스테리야-부프ꡕ는 새로움에 대한 지향을 종말과 함께 시작하여 유토피아 건설로 그 방향을 노정한다. 종말과 유토피아를 이어주는 통로로서 혁명은 ꡔ미스테리야-부프ꡕ에서 몇 가지 특징적 양태를 띠는데, 그 첫 번째 모습이 비가역성이다. 마야콥스키는 혁명을 종말에서 유토피아로 이어지는 직선적 과정, 과거에서 미래로 향하는 선형적 과정으로 파악한다. 이것은 ꡔ미스테리야-부프ꡕ에서 텍스트의 선형적 구조를 통해 드러난다. ‘제목-부제-작가의 서문-프롤로그-슈제트’로 이어지는 내용상의 선형적 구조와 실제 슈제트를 이끌어가는 7쌍의 불순한 사람들이 보여주는 행동상의 선형적 구조가 교직하면서 직선적인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비가역성과 더불어 혁명의 핵심양태는 집단주의이다. 개인 또는 몇몇 특정집단이 주도하는 것이 혁명일 수 없으며, 혁명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마야콥스키는 주인공을 집단화했으며, 주인공의 명명에서 개별 이름을 박탈하고 직능대표를 이름으로 삼았고, 사물의 의인화를 통해 주인공 집단의 규모를 확대했으며, 갈등의 배제를 통해 집단이 통일되고 그리하여 강력한 집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혁명은 현실적이라는 점이다. 혁명은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해 가는 노력으로부터 시작된다. 마야콥스키는 현실문제 해결을 위해 미래인을 현재로 소환한다. 미래인은 현실 문제 타결을 위해 필요한 것이지 그 자체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Misterija - buff, written in 1918, was acknowledged as first soviet drama. Considering Majakovskij' status in history of 20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drama Misterija - buff have possessed two specific characters, Majakovskij’s political propaganda about soviet revolution as a revolutionary and his free aesthetic gesture about it as radical futurist. Therefore analyzing Misterija - buff is interesting work on collapse of old regime - revolution - reconstruction in starting soviet period.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ry and function of apocalypse - revolution - utopia depicted in Vladimir Majakovskij’s drama Misterija - buff. The soviet revolution was opened by deluge, apocalypse imagery in Majakovstij’ drama. Through this representing author said that the destruction of old order have represented logical inevitability like divine punishment. The end of revolution is construction of utopia(russian word, 'raj'). In the end, the revolution is the road from destruction to construction. The revolution as the road have three important things. First, the revolution is irreversible process proved by linear story composing. Second important thing is the collectiveness of the revolution. It was achieved not by the individual, but by the group. Last, it has meaning for revolutionary to resolve the present problem. Majakovskij have showed us the essence of period’s asking through triangle relationship between ‘apocalypse - revolution – utop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