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초야우도(芭蕉夜雨圖)〉의 작자 문제 (Some Thoughts on the Authorship of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5
16P 미리보기
〈파초야우도(芭蕉夜雨圖)〉의 작자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33호 / 132 ~ 147페이지
    · 저자명 : 장진성

    초록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1392-1573)와 조선 초기에 제작된 그림들 중에는 국적(國籍) 문제가 남아있는 작품들이 여러 점 있다. 조선 초기의 회화와 일본 무로마치시대의 수묵화 사이의 교섭 양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그동안 주목을받아 온 〈파초야우도(芭蕉夜雨圖)〉(1410년경, 토쿄국립박물관((東京国立博物館) 소장) 역시 작자(作者)의 국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작품이다. 이 그림에는 1410 년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 1386-1428)의 쇼군(將軍) 취임을 축하해주기 위해 일본에 봉례사(奉禮使)로 파견된 집현전 학사 양수(梁需, 15세기 초에 활동) 의 제찬(題贊)이 적혀있다. 그는 1410년 8월에 쿄토(京都)의 난젠지(南禪寺)에서 열린 고잔(五山) 선승들의 시회(詩會)에 초청을 받아 참석한 후 칠언절구의 제시(題詩)를 〈파초야우도〉에 남겼다. 양수가 어떤 계기로 이 시회에 초청을 받았는지는 현재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런데 양수의 제찬으로 인해 〈파초야우도〉의 국적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카나자와 히로시(金澤弘) 등 일부 일본 학자들은 〈파초야우도〉에는 조선(朝鮮) 화풍(畵風)이 나타나 있으며 아마도 이 그림은 양수가 대동(帶同)한 조선 화가가 그린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파초야우도〉는 난젠지의 젊은 승려인 잇카 켄푸(一華建怤, 1410년-1460년에 주로 활동) 가 「초창추우(蕉窓秋雨)」 또는 「추우파초(秋雨芭蕉)」라는 시를 짓고 시의(詩意)를 표현하기 위하여 제작한 그림이다. 한편 이 그림에는 취묵(吹墨, 吹き墨, 후키즈미) 기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있어 주목된다. 취묵 기법은 붓에 먹을 잔뜩 묻힌 후 화가가 입으로 붓끝을 불어서 작은 묵점(墨點)이 화면에 분사(噴射)되도록하는 기법이다. 〈파초야우도〉의 전경(前景)과 중경(中景)에는 무수한 작은 점들이 뿌려져 있다. 조선시대 전체 회화 작품들 중 취묵 기법이 사용된 예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취묵 기법이 사용된 가장 연대가 올라가는 작품은 남송시대(南宋時代, 1127-1279)의 화가인 진용(陳容, 13세기 전반에 활동)이 그린 〈구룡도권(九龍圖卷)〉(1244년, 미국 보스톤미술관(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소장)이다. 일본의 선승화가(禪僧畵家)인 구케이(愚谿, 1361-1375년에 주로 활동)가 그린 〈우중산수도(雨中山水圖)〉(토쿄국립박물관 소장)에도 취묵 기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우중산수도〉는 〈파초야우도〉보다 연대가 앞선 일본의수묵화이다. 한편 킨케이 료빈(金谿良敏, 15세기 후반에 활동)이 그린 〈연지수금도(蓮池水禽圖)〉(클라우스 나우만 컬렉션(The Klaus F. Naumann Collection) 소장)에도 취묵 기법이 사용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회화작품들에서는 볼 수 없는 취묵 기법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파초야우도〉의 작자는 일본 화가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비록 〈파초야우도〉가 일본인 화가가 제작한 산수화라고 해도 이 그림이 한국회화사 연구에 있어 여전히 중요한 작품임은 분명하다.

    영어초록

    There are some early Joseon and Muromachi-period paintings whose authorship and nationality have been questioned. A case in point is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ca. 1410, now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Fourteen poems are inscribed on the painting. One of the poems was written by the Korean envoy Yang Su (active early 15th century), an official at the Hall of Worthies, who had been dispatched to Kyoto to celebrate the inauguration of Ashikaga Yoshimochi (1386-1428) as the fourth shogun of the Muromachi bakufu in 1410. In the eighth month of the year, Yang attended a poetry gathering held at the Nanzenji, Kyoto, in which eminent Zen monks participated. He wrote a poem at the gathering that came to be one of the inscriptions on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His poetic inscription led some Japanese scholars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showing certain elements from Korean painting, could have been painted by a Joseon painter who accompanied Yang Su. But,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was made for the young monk of Nanzenji Ikka Kenpu (fl. 1410-1460). It is a poetic painting representing the poem on banana trees in the rain on an autumn night that Ikka Kenpu composed. It must be noted that in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the method of chuimo (J. fukizumi, K. chwimuk) is actively used. The technique of chuimo is the method of blowing ink. Having saturated the brush with ink, the painter blew over the top hair of the brush. As a result, tiny ink dots are sprayed and sprinkled over the paper in a mottled pattern. In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numerous sprayed small ink dots are found on the banana trees in the foreground and the willow, miscellaneous trees, and reeds in the middle ground. The earliest known example showing the method of chuimo is Nine Dragons by Chen Rong (active first half 13th century), dated 1244, now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In Rainy Landscape by Gukei (fl. 1361-1375) in the Tokyo National Museum, a painting earlier than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in date, and Two White Egrets and a Kingfisher at a Lotus Pond by Kinkei Ryo- bin (active late 15th century) in the Klaus F. Naumann Collection, Kyoto, the method of blowing ink is used. Given that there is no Joseon painting showing the use of the technique of blowing ink, it is highly possible that a Japanese painter is the author of Banana Tree in the Night R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