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앙리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과 지역문화재생을 위한 콘텐츠 액티비즘 (Henri Lefebvre's Social Space and Contents Activism for Cultural Regenerati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6
17P 미리보기
앙리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과 지역문화재생을 위한 콘텐츠 액티비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경영·기술 / 4권 / 1호 / 45 ~ 61페이지
    · 저자명 : 최보경

    초록

    앙리 르페브르는 전통적인 공간의 개념을 사회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저서 『공간의 생산』에서 그는 공간을 물리적인 차원의 장소로만 보지 않았다. 대신 사회적 공간이라는 개념 하의 사회적 생산물로 보았고 공간과 사회의 상호역동적인 관계에 주목했다. 그에게 공간은 자연의 산물이나 문화의 단순한 현상이 아닌 총체성을 지닌 생산물이자 관계의 집합을 가리키는 생산물로 상호작용과 반작용을 통해 생산에 개입하는 생산물이었고 공간이 사회적인 것, 문화적인 것, 정신적인 것, 역사적인 것을 연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문화재생에서 대상이 되는 공간은 유휴공간으로 방치된 공간으로 더 이상 용도에 맞는 사회적 활동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여기에 재생이라는 방식을 접목하여 공간 소외를 극복하고 차이를 강조하여 존재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 공간은 사회적 산물이며 지역문화재생은 인프라의 구축이나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적용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을 그곳에서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들의 그물망을 형성해주는 과정이다. 지역문화재생에서는 전략과 실천의 모든 과정에서 장소를 만들어내고 지역에서 함께 하는 사람들이 직접 행동하도록 참여를 이끌어내면서 지속적으로 함께 할 수 있는 동기들이 함유되었을 때 지속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사회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지역문화재생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발현된 액티비즘이 적극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장소와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콘텐츠를 중심으로 새로운 가치 창출 과정에 동참하고 더 큰 협력을 이끌어 내는 과정, 즉 콘텐츠 액티비즘은 지역문화재생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영어초록

    Henri Lefevre took a sociological look 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In his book, The Production of Space, Lefevre did not see space as a physical place. Instead, he saw it as a social product under the concept of social space, and focused on the inter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ociety. He saw space as a product with a totality, not just a product of nature or a simple phenomenon of culture, but a product that refers to a set of relationships, a product that intervenes in production through interactions and reactions. He saw space as capable of connecting the social, cultural, spiritual, and historical. The space targeted in cultural regeneration is an idle space, and it is a space where social activities can no longer be carried out according to its purpose, and by incorporating the method of regeneration into it, it is connected to overcome spatial alienation and emphasize differences through creative development so that its existence can be recognized. Space is a social product, and community. Cultural regeneration is not just about building infrastructure or applying various contents that utilize space, but it is a process of forming a web of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who share their daily lives there. Community cultural regeneration is sustainable when it creates a sense of place and engages local people in direct ac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strategy and practice, and when it includes motivation to continue working together. In order to be successful, local cultural regeneration in social spaces needs to be actively and sustainably organized around contents. Contents activism, a process in which everyone involved in a place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new value around content and leads to greater cooperation, can create the most important value that can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local cultural re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