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ectinase처리를 한 매실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densed Prunus mume Juice Prepared with Pectinas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8.11
10P 미리보기
Pectinase처리를 한 매실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명과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학회지 / 28권 / 11호 / 1369 ~ 1378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호, 조현동, 원영선, 박울림, 이관우, 김혁주, 서권일

    초록

    본 연구는 예로부터 한약재 및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매실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pectinase를 사용하여 제조한 매실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산도는 35.81%, pH는 2.73, 당도는 54.36 ˚Brix 및 탁도는 2.75를 나타냈다. 매실 농축액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H2O2 소거활성 및 lipid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positive control과 유사하거나 다소 낮게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당 분해효소인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또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실 농축액을 처리함에 따라 B16 마우스 피부암세포, SK-MEL-2 및 SK-MEL-28 인체 피부암세포 모두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체 피부정상세포인 HaCaT 세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태학적 관찰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실 농축액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88.31 mg% 및 860.45 mg%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매실 추출물은 항산화 및 당 분해 효소 활성 저해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runus mume Siebold & Zucc., a member of the Rosaceae family (called Maesil in Korea), has been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e.g. Korea, Japan and China, and its fru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drug and health food. In this study, we evaluat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ndensed Prunus mume juice treated with pectinase (PJ). The values of total acidity, pH, sugar contents, turbidity moisture content of the PJ were 35.81%, 2.73, 54.36˚Brix, 2.75 and 51.32%, respectively. The PJ had effec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effect, H2O2 scavenging activity and β-carotene bleaching effe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J was 46.31%; their reducing power (OD700) was 1.80; H2O2 scavenging activity of PJ was 91.62%; and β-carotene bleaching effect of PJ was 73.02%. Also, PJ showed effective levels of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SRB assay. The PJ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mouse melanoma cells (B16) and human melanoma cells (SK-MEL-2 and SK-MEL-28)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n human keratinocyte HaCaT. In morphological study, PJ-treated SK-MEL-2 cells showed distorted and shrunken cell masse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PJ were 588.31 mg% (gallic acid equivalent) and 860.45 mg% (rutin equivalen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PJ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ts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s. In conclusion, PJ may be beneficial in development of a functional food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명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