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학’을 되돌아보기 위한 괄호들 - 하타다 다카시 편, 주미애 옮김,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제국 일본, 조선을 말하다』(소명출판, 2020) - (Parentheses to Reexamine in “Joseon Studies” : Takashi Hatada, SYMPOSIUM Japan and Korea, translated by Miae Joo (Somyung Books, 2020))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06
31P 미리보기
‘조선학’을 되돌아보기 위한 괄호들 - 하타다 다카시 편, 주미애 옮김,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제국 일본, 조선을 말하다』(소명출판, 2020)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9호 / 143 ~ 173페이지
    · 저자명 : 조은애

    초록

    이 글은 <일본에서의 조선 연구의 축적을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라는 일본조선연구소 연속 심포지엄의 결과로 출판된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シンポジウム 日本と朝鮮)』(旗田巍編, 勁草 書房, 1969) 및 그 한국어판 『심포지엄 일본과 조선: 제국 일본, 조선을 말하다』(주미애 옮김, 소명출판, 2020)에 대한 리뷰이다. 『일본과 조선』에서 ‘조선’이라는 타자에 대한 일본인의 ‘자세’는 ‘앎’, ‘사랑’, ‘연대’로 압축된다. 세 가지 담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첫째, ‘조선사 연구의 중심지’로서의 경성에 대한 향수와 선망을 참석자 간에 공유하고, 경성에서 작동하던 식민지 조선에 대한 지식/권력의 네트워크를 ‘조용한 앎’의 세계로 환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심포지엄의 근본적 주제인 일본인의 조선관에서 ‘인간성 부재’ 및 ‘사랑의 부재’는 결국 전전의 조선 연구를 지탱해 온 랑케의 실증사학에 내재된 타자 인식의 방법과 이어져 있었다. 하지만 심포지엄에서 이 방법론 자체의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는 점은, ‘계승’을 넘어선 새로운 방법론이 모색되는 계기가 부재했음을 말해준다. 셋째, 조선과 일본의 연대가 새로운 ‘일조관계’의 조건으로 공유되었으나, 그 내용은 주로 ‘미담’의 발굴로 환원되었다.
    학술사적 회고를 특징으로 하는 이 텍스트에서는, ‘현재’의 냉전 질서라는 맥락에서 전후 일본 조선 연구의 시의성을 의식했던 일본조선연구소의 ‘질문’, 그리고 전전 조선 연구의 핵심 담당자들의 ‘답변’ 사이에 긴장을 낳으면서도 동시에 그 긴장을 해소하는 효과 또한 발생한다. 괄호의 형식으로밖에 제시되지 않았던 연대의 담론이 어떻게 1970년대 이후의 ‘일한연대론’과 접속되는지 살피고자 할 때, 『일본과 조선』을 포함한 1960년대 후반의 일련의 학술운동은 남북일 냉전 구조 내에서의 지식과 실천을 잇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review of “SYMPOSIUM Japan and Korea” (Takashi Hatada (ed), Keisō Syobō, 1969) and its Korean version (translated by Miae Joo, Somyung Books, 2020), published as a series of symposiums held at Nihon Chosen Kenkyūjo. In the text, “Japan and Korea,” the Japanese person’s “attitude” to “Joseon” as the other, can be summarized into “knowledge”, “love”, and “solidarity”. As an academic and historical record, the text carries a tension between the questions raised from the Nihon Chosen Kenkyūjo, which was conscious of the timeliness of Joseon studies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order, and the answers provided by key academics of Joseon Studies. At the same time, the text also relieves tension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e discourse of solidarity that existed only through the form of parentheses relates to the discourse around Japanese and Korean solidarity in the 1970s. In doing so, the series of academic endeavors in the late 1960s, including “Japan and Korea,” may provide an important link between knowledge and its practice within Cold War structures of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