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도와 우울 사이에서: 어거스트 윌슨의 『피아노 레슨』에 나타난 가능한 애도와 불가능한 애도 양상 (Between Mourning and Depression: Possible and Impossible Mourning Patterns in August Wilson’s The Piano Less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12
24P 미리보기
애도와 우울 사이에서: 어거스트 윌슨의 『피아노 레슨』에 나타난 가능한 애도와 불가능한 애도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어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어영문학 / 68권 / 4호 / 937 ~ 960페이지
    · 저자명 : 정윤길

    초록

    With close attention to the dialogue and dispute between mourning and melancholy, this essay examines how the past legacy of African Americans who were not remembered under slavery is described through the aspect of ‘mourning’ in August Wilson’s The Piano Lesson. The Piano Lesson, an intriguing meditation on the lasting effects of past racial constraints and events on post-emancipation African-American liv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lore how hidden affects move through time and social space through thematic formation and consciousness. I apply Sigmund Freud and Jacques Derrida’s discussion of mourning and depression, and perspective on ghosts, to explain how Wilson reveals the black community’s mourning over loss. Their conception helps us understand how hidden emotions are maintained in The Piano Lesson as a result of, and in resistance to, the ongoing struggle against racial oppression. I show that Wilson’s intention is to reveal the emptiness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cultural depression and aporia that exist in the collective psyche of black Americans. The mourning ritual presents a systematic and culturally instilled way to recover the loss hidden in the events. Throughout this paper, I show how the African American way of mourning, when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writing, offers an alternative way of confronting trauma and loss. Wilson’s play creates cultural space for healing the possible and impossible mourning and the recovery of symbolic loss. In conclusion, I propose to view The Piano Lesson as textual mourning that shows the loss of culturally important events and identity.

    영어초록

    With close attention to the dialogue and dispute between mourning and melancholy, this essay examines how the past legacy of African Americans who were not remembered under slavery is described through the aspect of ‘mourning’ in August Wilson’s The Piano Lesson. The Piano Lesson, an intriguing meditation on the lasting effects of past racial constraints and events on post-emancipation African-American liv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lore how hidden affects move through time and social space through thematic formation and consciousness. I apply Sigmund Freud and Jacques Derrida’s discussion of mourning and depression, and perspective on ghosts, to explain how Wilson reveals the black community’s mourning over loss. Their conception helps us understand how hidden emotions are maintained in The Piano Lesson as a result of, and in resistance to, the ongoing struggle against racial oppression. I show that Wilson’s intention is to reveal the emptiness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cultural depression and aporia that exist in the collective psyche of black Americans. The mourning ritual presents a systematic and culturally instilled way to recover the loss hidden in the events. Throughout this paper, I show how the African American way of mourning, when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writing, offers an alternative way of confronting trauma and loss. Wilson’s play creates cultural space for healing the possible and impossible mourning and the recovery of symbolic loss. In conclusion, I propose to view The Piano Lesson as textual mourning that shows the loss of culturally important events and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