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상의 상실을 애도하기 위한 목회상담연구 : 존 보울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storal Counseling of Mourning the Loss of Daily Routines : Focusing on John Bowlby's Attachment The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09
28P 미리보기
일상의 상실을 애도하기 위한 목회상담연구 : 존 보울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1호 / 341 ~ 368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갑작스러운 일상 상실의 애도를 돕기 위한 교회 공동체의 목회 상담적 역할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팬데믹(pandemic) 현상으로 일상의 상실이라는 큰 슬픔을 겪고 있는 개인들에게 교회공동체는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교회공동체와 실천신학자들은 이러한 고민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연구하며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존 보울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을 적용하여 개인이 일상을 상실한 슬픔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분리불안은 오히려 개인에게 진정한 영적 애착 대상이 창조주 하나님이라는 각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또한 교회공동체는 일상 상실의 슬픔으로 인해 분리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개인에게 안정 재애착을 경험할 수 있는 애도의 장을 ‘대면’ 또는 ‘비대면’의 어떤 방식으로든 제공할 준비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는 상실의 슬픔이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먼저 이해하려한다. 이어서 보울비의 애착이론 관점에서 상실의 슬픔에 따른 분리불안에 관해 알아본 후, 이를 건강하게 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찰스 바흐만(Charles Bachmann), 데이비드 스윗처(David K. Switzer), 하버트 앤더슨과 케네스 미첼(Herbert Anderson & Kenneth R. Mitchell), 스테판 프리만(Stephen J. Freeman)이 제안들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상실 극복 애도 상담의 과정들을 목회 상담적 차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려 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일상을 상실한 슬픔을 애도하는 과정이 일반 개인뿐만 아니라 크리스천에게도 본인의 신앙을 점검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분석할 것이다. 만일 보울비가 주장하는 안정애착과 같은 경험을 개인이 교회공동체 안에서 지속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면, 갑작스러운 일상 상실로 인한 슬픔도 안전기지(secure base)인 교회 공동체 안에 쏟아놓고 함께 울고 웃는 건강한 애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누구나 삶의 여정 가운데 갑자기 겪게 되는 상실의 슬픔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개인이 상실을 경험할 때마다 절망만 할 것이 아니라, 건강한 공동체와 함께 머무르며 애도를 체험할 수 있다면 이후의 삶은 이전보다 더 풍성해지는 전환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roles of the church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as a way of mourning a sudden, unexpected loss of daily routines. How can the church community help individuals who are going through heavy sorrow associated with the loss of daily living activities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church community and practical theologians have to cope with and research on these concerns more actively, coming up with practical alternativ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in application of John Bowlby's attachment theory, intends to argue that separation anxiety experienced by individuals due to the grief at the loss of daily routines would rather be an opportunity to help the individuals to realize that the true spiritual attachment object is God the Creator. In addition, the church community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a place of mourning where individuals could experience secure attachment again in appropriate ways - either face-to-face or non-face-to-face - to individuals experiencing separation anxiety caused by the grief at the loss of daily routines. For this purpose, at first,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what the sorrow caused by the loss is like. And then, from the perspective of Bowlby's attachment theory, in-depth examination will be conducted on the separation anxiety caused by the sorrow of loss, which, as a means of mourning in a healthy way, will be followed by consideration of a grief counseling process for overcoming loss, along with a further attempt to apply it to the dimension of pastoral counseling, suggested by Charles Bachmann, David K. Switzer, Herbert Anderson, Kenneth R. Mitchell, Stephen J. Freeman.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the process of mourning the loss of daily routine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Christians, let alone ordinary individuals, to examine and develop their own faith. It’s because if an individual can continuously have such experiences as secure attachment introduced by Bowlby within the church community, it would be arguably possible to mourn in a healthy way the grief at the unexpected loss of daily routines, as pouring out the heart of grief, crying and laughing together within a secure base like the church community. None are free from the grief coming from any unexpected, sudden loss in the midst of life journey. Whenever an individual goes through loss, however, if he/she could experience mourning together with a healthy community, instead of being despaired only, afterward a great opportunity of turning life to be more abundant than ever before will be made avail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