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 반응을 통해 본 자기애 성향 참여자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활용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through the Responses to Folktale and Literary Therap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1
33P 미리보기
설화 반응을 통해 본 자기애 성향 참여자의 특성과 문학치료적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70권 / 9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애

    초록

    본고는 자기애 성향이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문학치료 활동에서 참여자가 보인 설화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참여자의 자기서사적 특성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부적응적으로 발달한 자기애는 지나치게 자기에게만 몰두하고, 타인에게까지 관심이 확장되기 어렵게 되면서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에, 주의를 기울이고 대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문학치료적 관점과 방법을 활용하여 자기애 성향의 참여자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문학치료적 관점에 의거하여 참여자의 성향을 파악하려는 것은 자기애 성향의 원인을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본고는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유의미한 반응에 주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화 반응에 대한 첫 번째 특징은 호랑이에 대한 양가적 인식을 보인다는 것이고, 둘째는 어머니에 대한 존재를 축소하고 소거하려는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참여자는 설화를 도구로 삼아 적극적인 자기보고를 실행하였으며, 이는 곧 설화 반응과 참여자 개인의 삶과 밀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참여자는 호랑이를 폭력적인 아버지와 동일시하여 소망하는 권력의 대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처벌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 어머니는 참여자에게 희생적인 존재이지만 동시에 쓸모가 없는 존재로 인식되면서 어머니에 대한 대안적 관계로서 친척을 상정하고 친척으로부터 받은 과잉기대로 거대한 자기상을 만들어 스스로를 보호해오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설화 반응을 통해 확인된 참여자의 자기애 성향은 긍정적인 전이관계와의 경험을 통해 치료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부모에 대한 뒤틀린 인식을 직면하고 전이관계에서의 지지경험을 통해 안정감을 되찾을 때 치료의 길이 열릴 것이며, 이를 위해 점진적인 설화 선정과 배치로 참여자의 자기서사의 확장과 변화를 견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s to folktale from literary therapy activitie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Maladaptively developed narcissism can caus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excessive focus on oneself and problems relating to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manage such traits. This study strives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tendencies based on a literary therapy perspective, primarily aiming to identify the cause of narcissistic tendencies through deeper insights into human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meaningful reactions to the folktale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Mo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One of characteristics on the responses was to show an ambivalent perception of tiger, and the other showed characteristics of trying to minimize and erase the existence of his mother. Participants carried out active self-report using folktale as tools, which show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sponses of folktale and the individual lives of participants. Thus, the participant identified the tiger with the violent father and regarded it as the object of desired power and the object of punishme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in a violent environment, the mother was perceived as a victim to the his family but at the same time useless, and a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to the mother, he assumed a relative as an alternative and created a huge self-image with the excessive expectations received from the relative.
    It is believed that the participant's narcissistic tendency identified through the folktale response can be cured through experiences with positive transfer relationships. When faced with a twisted perception of parents and regained a sense of stability through experience of support in a transfer relationship, the path to treatment will be opened,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rive the expansion and change of the participants' own narratives by gradually selecting and deploying folk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