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끼전>에 나타난 까투리의 애도 과정 연구: ‘이중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The Grief Process of the Kkaturi in Jangkkijeon : Focusing on the “Dual Process Mode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lt;장끼전&gt;에 나타난 까투리의 애도 과정 연구: ‘이중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75호 / 155 ~ 186페이지
    · 저자명 : 정진하, 오세정

    초록

    본 연구는 <장끼전>에서 남편과 사별한 까투리의 애도 과정을 ‘이중 과정 모형(Dual Process Model)’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중 과정 모형은 사별자 내면의 복잡성과 역동적인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사별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과정을 애도라고 본다. 이중 과정 모형은 상실에서 오는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상실 이후 삶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도 함께 다룬다. 이중 과정 모형은 애도를 단순히 상실에서 회복, 그리고 현실로의 복귀라는 일방향적인 진행이 아닌, 상실 중심과 회복 중심의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이 과정은 두 축 사이를 이동하는 진동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애도를 하는 개인의 복잡한 내면 심리를 보다 깊이 살펴볼 수 있다.
    <장끼전>은 배우자와의 사별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장끼가 덫에 걸린 순간부터 까투리의 애도가 시작된다. 까투리는 처음에는 슬픔과 절망에 빠지며 상실 중심 대처를 한다. 그러나 회복 중심 대처를 하는 모습을 보이며 점차 남편의 죽음보다는 자신의 삶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애도 과정을 거치며 획득한 회복탄력성은 까투리가 슬픔을 극복하고 일상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회복탄력성은 까투리가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변화에 적응하여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해준다. 장끼의 죽음으로 가정은 위기에 처하지만, 까투리는 애도 과정을 통해 슬픔을 극복하는 능력인 회복탄력성을 획득한다. 또한 구혼자들의 존재는 까투리에게 생산적인 능력과 성적 욕망이 남아 있음을 상기시키며, 그들과의 교류를 통해 까투리는 자신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킨다. 구혼자들의 청혼을 거절하는 것은 회복탄력성을 얻은 까투리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이는 회복탄력성이 자신의 삶을 주도하는 힘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까투리는 개가를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삶을 받아들이고 일상을 완전히 회복한다. 애도 과정을 통해 볼 때 까투리의 개가는 회복탄력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선택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rief process of Kkaturi, who loses her husband in Jangkkijeon, using the “Dual Process Model,”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er grief. The Dual Process Model is a methodological framework that captures the complexity and dynamic changes within the mourner, seeing grief as a process of coping with various stresses arising from bereavement. This model addresses not only the stress caused by bereavement itself but also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recovery and rebuilding one’s life after bereavement. The Dual Process Model does not view grief as a linear progression from bereavement to restoration or simply a return to reality, but as a dynamic process involving coping with stress related to both bereavement and restoration. This process manifests as an oscillation between the two dimensions, allowing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ourner's complex internal psychological state.
    Jangkkijeon is a work centered on the bereavement of a spouse and Kkaturi begins her grief from the moment her mate, Jangkki is caught in a trap. Initially, she falls into grief and despair, responding to the bereavement with by focusing on the bereavement itself. However, as she shifts to a restoration-oriented approach, she gradually begins to concentrate more on her remaining life rather than on her husband's death. The resilience she gains through this grief process plays a crucial role in helping her overcome sorrow and restore her daily life. Resilience helps Kkaturi navigate the crises and adapt to change, allowing her to return to her routine life. While the household is disrupted by Jangkki’s death, Kkaturi acquires resilience through the grief process, enabling her to overcome grief. Additionally, presence of suitors reminds her that she still possesses productive abilities and sexual desires. Through her interactions with them, she begins to change her self-awareness. Her rejection of the suitors' proposals demonstrates the confidence she gains from resilience, showing that she can choose the life she desires. This highlights how resilience has become a force that allows her to take control of her life. By choosing to remarry a widowed Jangkki, Kkaturi embraces a new life and fully restores her dail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ief process, her decision to remarry can be seen as resulting from resilience, a choice that reflects the direction she wishes to take in her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