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윤석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양상-「월주가」를 중심으로- (Aspects of family affection that appeared in the Chinese poetry of Hwang, yun-seok-Based on the 「Wuoljug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황윤석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양상-「월주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45호 / 387 ~ 424페이지
    · 저자명 : 이상봉

    초록

    본고는 頤齋 黃胤錫(1729∼1791) 한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의 한 단계로 이재가 가족애를 한시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월주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재는 벼슬을 위해 생애의 많은 시간을 고향을 떠나 지냈기에 스스로를 나그네로 상정한 경우가 많았고 자신을 노래한 「월주가」 1장에서도 그런 모습을 보였다.
    2장에서는 비록 벼슬을 하지는 못했지만 선비로서의 자세를 유지했던 아버지를 추모하고 고향에 머물며 효도하지 못한 아쉬움을 노래했다. 이재에게 아버지는 스승과 같은 존재여서 이재가 관직생활 중에 어떤 문제에 직면할 때면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3장에서는 몸이 상하는 것도 잊고 가문의 일을 돌보셨던 어머니를 노래했다. 어머니는 벼슬을 위해 고향을 떠나있는 이재의 마음을 편히 해주려고 늘 노력하셨고 이런 어머니를 이재는 늘 그리워했다.
    4장에서는 동생 황주석을 노래했다. 황주석은 두 살 아래의 동생이었지만 이재에게는 知己와 같은 존재여서 항상 좋은 조력자가 되어주었다. 5장과 6장에서는 가난한 삶을 살았던 두 명의 누이를 노래했다. 일곱 살 연상인 누나와 다섯 살 아래인 여동생은 늘 그립고 마음이 쓰이는 존재였다. 7장은 헌신적으로 자신을 도와준 아내를 노래했다. 이재는 평생 자신을 위해 노력만 하다가 세상을 떠난 아내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때문에 숙배하기 전날 꿈속에서 죽은 아내를 만나기도 했다. 8장과 9장은 자녀들을 노래했다. 일찍 세상을 떠나 애끊게 만든 자식도 있었지만 살아남아 장성한 2남 2녀의 자녀는 이재에게 삶의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남겨진 일기와 시 내용만 보면 이재는 거의 완벽한 부모 아래에서 교육받았고 聖人에 가까운 아내와 동생의 도움으로 삶을 영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과연 그랬을까? 이재의 시 속에서 가족에 대한 감사와 사랑의 내용이 주를 이루는 이유는 이재가 평소에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들과의 사이에서 서로의 고마운 점은 부각해서 보고, 서로의 단점은 가볍게 보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찍 떠나보낸 자녀에 있어서도 그 비통한 마음이야 이루 말 할 수 없겠지만, 살아남은 나머지 자녀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그 슬픔을 극복하며 삶을 영위해 갔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가족에게 감사하는 긍정적이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객지생활의 어려움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또한 한 국가의 관료로서의 삶을 건전하게 개척해 나아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the shape of the family affection in the Chinese poetry of Hwang, yun-seok(1729∼1791). And it based on the 「Wuoljuga」. This is one stage of the process of overall analysis of his poetry. Hwang, yun-seok was living away from home a lot of time for the government post. So it was often assumed himself to travelers. And it was so in Chapter 1 of 「Wuoljuga」.
    In Chapter 2, in memory of his father, he sang the chagrin that could not be filial piety. His father was not a public official. However, his personality was great. His father was the same as the teacher. So he asked his father to solve the problem in public life.
    In Chapter 3, he sang a mother who has endeavored the household matters. She did a lot of housework, so it damaged her body. She was always striving to ease his mind. Because he has left the home for a government service. So he always missed his mother.
    In Chapter 4, he sang the brother, Hwang, joo-seok. He was two years younger than Hwang, yun-seok. However, he was a friend. So he always helped Hwang, yun-seok. In Chapter 5 and Chapter 6, he sang two sisters. His elder sister was five years older than him and His younger sister was five years younger than him. He always missed and loved his sisters.
    In Chapter 7, he sang his wife. She was devoted to help him for all her's life long. So he was grateful to his wife. He met his wife who was passed away several years ago in a dream before the appointment. In Chapter 8 and Chapter 9 he sang his children. Some of his children were died young. So he was very sad. But the others grew up normally so they became the motive power of his life.
    According to Yijaenango and poetry, He was educated by perfect parent and saintly wife and wonderful brother helped him. But was that true? There were only gratitude and love to the family by the materials. That’s because, I think, he always wanted to find it in his's heart to thanked to his family and did not wanted to look for the bad from his home and family.
    He lost one son and two daughters but he overcome the sorrow of loss and lead his life. I guess that he could overcome the sorrow of loss with an affection and attention to living children. Thus, he had a positive attitude and always thanks to his family. So, I guess, he could raise his family and could have been in public office for 20 years in spite of living away from home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