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서 소크라테스적 인간애와 소통-교육 (Socratic Philanthropy and Communication-Education in Plato’s Euthyphro)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플라톤의 &lt;에우튀프론&gt;에서 소크라테스적 인간애와 소통-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32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강철웅

    초록

    경건을 정의하는 표면적 기획에 관한 한 『에우튀프론』은 정의(定義) 대화편이고 종교 이야기다. 그러나 『변명』 및 『크리톤』과 이루는 삼부작이라는 심층적 기획에 착안하면, 그것은 단순히 경건의 정의 이야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경건과 정의를 어떻게 나누고 가르칠 것인가를 다루는 소통과 공감 이야기요 교육 이야기다. 이 소통-교육 이야기는 소크라테스의 ‘인간애’를 특징적으로 부각하는데, 그 주된 면모는 ‘자신을 내어줌’이다. 이 작품에서 지혜 주장을 하는 에우튀프론은 정작 그것의 나눔에 ‘인색’한 반면, 무지 주장을 하는 소크라테스는 오히려 대화 상대에게 물음 제공자로서 ‘자신을 내어주는’ ‘인간애’를 드러낸다. 그의 ‘인간애’는 자신의 아포리아에 더해 남들도 자기처럼 아포리아에 빠져 무지 고백자가 되게 만드는 소통과 공감의 작업이며, ‘가르치지 않는 교육’이요, 질문을 통해 제자 자신이 스스로를 개선하고 계발하는 데 연습 상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자신을 내어주는 에로스다. ‘자신을 내어줌’은 소크라테스 식 대화에서 논변의 소유권을 상대에게 귀속시키는 태도와 궤를 같이하는 소크라테스 식 소통-교육의 요체다. 배울거리를 넘겨주고 반대급부로 돈을 요구하는 소피스트적 교육과 달리 소크라테스적 소통-교육은 ‘주고받음’, 즉 공감과 공유를 중시한다. 자기 것 일부, 즉 배울거리를 넘겨주는 대신 자신 전체, 즉 영혼을 상대가 이용할 수 있게 온전히 내어준다. 『변명』 삼부작에서 소크라테스는 설득과 소통보다 진실과 정의에 몰두하는 『변명』에서부터 출발하여 『크리톤』에서는 설득과 공감으로, 『에우튀프론』을 통해서는 소통과 교육으로 차츰 문제 지평을 넓혀 간다. 이는 진실과 정의의 진정성이나 공유 의도만이 아니라 소통-교육의 성공, 즉 공유의 성취에까지 주목하는 플라톤의 문제의식의 발전을 반영한다. 그것에 따르면 교육은 소통을, 소통은 교육을 필요로 한다. 즉, 소통되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적인 소통이어야 한다."

    영어초록

    As far as its ostensible project to define piety is concerned, the Euthyphro is a definitional dialogue and a talk of religion. But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its connectedness with Plato’s two other works, the Apology of Socrates (the Apology, hereafter) and the Crito, which I characterize as Plato’s in-depth project of trilogy, it is not merely a talk of defining piety but a talk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and even of education, i.e. of how we should communicate our discourses on religion and justice with others. This talk of communication-education is put forth focusing on Socratic philanthropy, in which the main feature is ‘offering himself.’ In this work, Euthyphro who claims wisdom grudges communicating it, while Socrates who claims ignorance shows his ‘self-offering’ philanthropy by questioning his interlocutors. His philanthropy makes him communicate and sympathize with others by letting them also get into aporia, which he himself already got into, thereby making them confessors of their own ignorance. It is an education without teaching, and an eros offering oneself as an exercise partner for his or her student to utilize to improve and cultivate him- or herself. So ‘offering himself’ is a key point of Socratic communication-education which goes together with his attitude of attributing the ownership of argument to his interlocutor in his dialogue. While Sophistic education imparts lessons (mathēmata) and asks money as compensation for them, Socratic communication-education lays stress on the sympathy and communion of the soul with each other. Socrates offers the whole of himself, i.e. his soul, making it available for his interlocutor to utilize, instead of imparting some parts of his possession, i.e. lessons. In the Apology trilogy, Socrates gradually widens his dimension of problems: starting from immersing himself in truth and justice rather tha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in the Apology, to talking about persuasion and sympathy in the Crito, and ultimately to talking abou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e Euthyphro. This reflects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lato’s critical mind through which he pays attention not only to the sincerity of truth and justice and the intention of sharing them with others but also to the success of communication-education, i.e. achievement of the sharing. According to that mind, education and communication require each other; that is, education should be communicated,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ducatio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