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민의 민족애 -이광수의 초기 문장을 중심으로 (1908~1919) (The Love for the Nation as the love for the people -Focusing on Yi Kwang-su's early sentences (1908~1919))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애민의 민족애 -이광수의 초기 문장을 중심으로 (1908~1919)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93호 / 59 ~ 92페이지
    · 저자명 : 박성태

    초록

    민족애는 영속적이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언어적 힘의 개입 속에서 형성되고 변이되는 역사적 감정이다. 경술국치 전후 국가의 흥망성쇠에 대한 공감을 통해 민족애를 촉발시키는 일반적인 논법과 달리 이광수는 동정의 함양을 통해 민족애를 형성하고자 했다. 선각자적 세대의식을 지녔던 그의 민족애는 당대적 맥락에서 봤을 때 ‘애국’보다는 ‘애민’에 가까웠다. 그는 자긍보다는동정으로, 애국보다는 애민으로 민족애를 형성했는데 이는 일제에 위협적이지 않다는 한계를 띠고 있었다. 그는 동정의 해방적 가능성을 인지했지만 동시에 그것을무한정 확장할 수 없는 현실적 제약도 간과하지 않았다. 일제에 대한 적개심을 지녔음에도 매체의 한계를 의식한 그는 적개심이 소거된 민족애를 구성했다. 또한 사랑과 민족애의 반목을 인지한 그는 사랑의 감정을 유사가족애로 전환시켜 민족애의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동정의 함양, 적개심의 소거, 그리고 사랑의 관리를통해 1910년대 이광수는 애민의 민족애를 형성했다. 1919년 1차 세계대전 이후윌슨의 민족자결주의로 독립의 희망을 얻은 그는 「2.8독립선언문」에서 일본에 대하여 영원의 혈전을 선언한다고 쓴 다음 상해로 탈출한다. 하지만 그가 형성한 애민의 민족애를 떠올려 볼 때 그에게 조선인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한반도로 돌아오는 일은 필연적이었다.

    영어초록

    National love is not permanent and unchanging, but is a historical emotion that is formed and transform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linguistic forces. Before an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Yi Kwang-su tried to form national love by cultivating sympathy. This wa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rgument that national love is formed through reactions to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time, his love for the nation was closer to ‘love for the people’ than ‘patriotism’. He formed his love for the nation through sympathy rather than pride, and love for the people rather than patriotism, but this had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 threat to Japanese imperialism. He recognized the liberating potential of sympathy,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overlook its practical limitations. Although he had hostility toward the Japanese, he was conscious of the limitations of the media environment, so he created a love for the nation that eliminated the hostility. Also, recognizing the antagonism between a lover's love and national love, he tried to convert the feelings of love toward his lover into quasi-family love and use them as a resource for national love. Through cultivating sympathy, eliminating hostility, and managing love, Yi Kwang-soo created national love in the 1910s. After World War I in 1919, he gained hope for independence through Wilson's national self-determinationism, and wrote in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at he would declare eternal bloody battle against Japan and then escaped to Shanghai. However, considering the love for the nation he developed, it was inevitable for him to return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l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