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문’과 배제의 윤리 -<銀愛傳>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Rumor and the Ideologized Eth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소문’과 배제의 윤리 -&lt;銀愛傳&gt;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44호 / 127 ~ 156페이지
    · 저자명 : 정인혁

    초록

    1785년 강원도 안협에서 발생한 이언의 옥사나 1789년 전라도 강진에서 발생한 김은애의 옥사 모두 근거 없는 ‘소문’이 빌미가 되어 벌어진 사건들이다. 본고의 목적은 이들 사건의 빌미가 된 ‘소문’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확산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소문은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소문이 만들어졌지만 아직 사람들에게 확산되지는 않은 잠복기가 그 첫 번째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공간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까운 집단 내에서 소문이 유포되는 확산기이다. 세 번째 단계는 집단 내의 여러 계층으로 확산된 소문이 그 소문을 공유하는 집단 내에 특정한 행동을 촉발시키는 단계이다. 이야기로서의 소문이 물리적인 현실의 차원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소문은 어떤 진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소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이미지가 대상에 덧씌워지기 위해서는 설득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때 가장 유효한 것이 소문을 공유하는 집단에게 익숙한 소재를 시의적절한 현실에 투영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소문의 시의성이다.
    소문은 소문 자체에 자기존재의 근거를 확보하는 자기 진술의 담화 구조를 갖는다. 소문은 ‘사람들’이라는 불특정 다수의 존재를 드러내며, 그 ‘사람들’은 “그렇지만 너도 들었잖아!”라고 말하는 순간, 소문의 참여자가 되고 스스로 소문의 존재 근거가 된다. 소문을 듣고 말하는 ‘사람들’이 어느 순간 소문의 주체가 되고 그 자신이 소문의 근거가 됨으로써 소문은 하나의 ‘지식’처럼 여겨지고 확산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운데 소문을 공유하는 ‘사람들’은 집단을 형성한다.
    스스로 자기 존재의 근거를 마련하는 소문은 소문의 참여자들을 주체로 내세우면서 허구를 현실로 만들고 소문을 실제로 만든다. 이렇게 퍼진 소문의 진실은 파악하기 어렵게 되고 소문 속에 등장하는 남자 혹은 여자는 ‘사람들’에 의해 낙인찍힌다. 조선사회에서 유교적 윤리 규범, 특히 강상에 관한 좋지 않은 소문에 참여하게 될 때, 소문의 참여자들은 소문 속에서 강상의 윤리를 져버렸다고 이야기되는 대상 인물의 반대편에 서게 된다.
    소문은 사회 규범을 강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체제가 자신의 존립을 위해 합리성을 도외시하거나 상실하고 권위에 의존하여 자신의 지배 체제의 정당화를 꾀할 때, 윤리 규범은 더 이상 순수하지 않다. 그것은 체제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에 불과한 것이 될 뿐이다.
    구씨나 김은애의 옥사는 체제 유지를 위해 이데올로기화된 윤리가 어떻게 소문을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ee, Eon's criminal case which occurred at Gangwon-do Anhyeop in 1785 and Kim, Eun-ae's criminal case which occurred at Jeolla-do Gangjin in 1789 are all murder cases happend because of unfounded rumo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spread and influence of the rumor that caused the incidents.
    The rumor takes three steps. The first stage is a rumor that has said but not yet spread to people. It is a latent period. The second stage is the stage of dissemination within the spatial and socially close group. It is a spread period. The third stage is the rumor spreading to various levels within the group and triggering specific behavior. The rumor that was a story comes to the level of physical reality.
    Rumors are not based on truth. Thus, rumors begin on the slightest pretense. But, in order to secure persuasiveness, the familiar material is projected into a timely reality. This is the timeliness of rumors.
    Rumors report on 'People'. When you say, "But, you've heard it!", the participant who hears and talks about rumor becomes the basis for rumor by himself. 'People' who hear and talk about rumors become the subject of rumors at that point. From this time, contents of rumors are thought to be a 'Knowledge' and spread. And among these, 'People' who share the rumor form a group.
    Participants of the rumor become the subject, make a fiction a real and make the story an actuality. The truth of rumors becomes difficult to grasp, and a man or woman in rumors are branded by 'Poeple'. When 'People' faced with ethically bad rumors in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People' exclude the man or woman in rumors from their own groups.
    Rumors can be a tool to strengthen social norms. But, when the system attempts to justify domination, the rule of ethics is no longer pure ethics. It is only an ideology for maintaining the system.
    These criminal case show rumors which is used by ideological ethics to maintain th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