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사랑과 맹서(愛と誓ひ)'와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若い龍の鄕)」비교 연구 (Movie 'Love and Oath (愛と誓ひ)' and O Yeong-jin report of a 'The home of a young dragon(若い龍の鄕)' Comparative stud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0.06
41P 미리보기
영화 '사랑과 맹서(愛と誓ひ)'와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若い龍の鄕)」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1호 / 247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윤미

    초록

    이 논문은 영화 <사랑과 맹서(愛と誓ひ)>(최인규 감독, 1945)와 오영진(吳泳鎭)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若い龍の鄕)」(『국민문학』1944.11)의 비교를 통해 그 유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도는 영화 <사랑과 맹서>가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若い龍の鄕)」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왔다고 보며, 조선영화무용론이 제기되는 식민지 상황에서 제국이 허용한 로칼리티(locality) 가 영화에서 어떻게 변화해 갔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먼저 오영진의 선전 시나리오 <제트기 아래서(ジ工ト機の下に)>에 대한 언급을 토대로, 1942년 『국민문학』에 발표된 오영진의 영화론과 당시 영화 좌담회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오영진은 자신에게 시나리오 창작을 의뢰한 해군성을 취재하면서 영화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는 ‘지원병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할 영화가 만들어질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실제 조선인 지원병의 가정을 방문하여 취재하는 영화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영화가 ‘국민문화재’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은 시나리오 작가인 ‘나’가 해군성의 요청으로 조선인 지원병에 대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 견문한 취재기이다. 영화 <사랑과 맹서>도 신문기자 견습생인 주인공 에이류가 일명 ‘가미카제’(神風) 특공으로 전사한 무라이 소위의 가정을 취재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결국 무라이 소위의 아내에게 감명 받아 해군성에 입대하여 ‘가미카제’가 된다는 내용이다. 두 텍스트의 유사성은 이처럼 모두 일본 해군성의 요청으로 제작되었다는 점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오영진의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에서 ‘벚나무 큰 가로수’는 상징적 이미지로 강조되는데, 영화 <사랑과 맹서>에서도 벚꽃은 송별회에서 인서트 장면으로 강조되며, 에이류가 ‘벚나무 가로수’길을 걸어 해군성에 입대하는 마지막 장면이 롱테이크로 강조된다. 그리고 <사랑과 맹서>와 「젊은 용의 고향」에 나오는 공통적인 인물로 ‘무라이 소위의 아버지’와 ‘신병과장’을 들 수 있다. 두 사람은 아들을 특공으로 보냈으며 제자들을 전쟁터로 보내기 위해 정신교육을 강조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두 사람은 서예에 조예가 깊고 명필가와 서신을 주고 받으며 현실을 초월한 도인이자 군국의 아버지로 그려진다.
    또한 영화 <사랑과 맹서>에서 오영진의 전작 시나리오 <배뱅이굿>과 <맹진사댁경사>에 나타난 것과 비슷한 장면이 반복되는데, 등장인물들이 마을사람들의 전송을 받으며 이상세계로 그려진 마을 밖 세상으로 떠나는 장면이다. 등장인물들이 마을 사람들의 전송을 받으며 이상 세계로 떠나는 것은 오영진의 작품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어 나타나는 장면이다.
    오영진의 시나리오 <배뱅이굿(べべンイの巫祭)>(1942.8)과 <맹진사댁 경사(孟進仕宅の慶事)>(1943.4)에서 보여지는 조선이라는 로칼리티가 영화 <사랑과 맹서>에서는 제국의 보편성으로 스며드는데, 조선색(朝鮮色)이라는 특수성은 제국의 입장에서는 지워져야 했으며 그것은 새로운 국민으로 탄생하기 위해 극복되어져야 하는 것이었다. 영화 <사랑과 맹서>에서 조선인 가인들의 조선어 노래는 송군의 환송회 장면의 일부분으로 기능하지만, 에이류가 송군이 타고 떠날 버스의 휘발유를 빼듯이 피식민자의 분열을 일으키는 장면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취재기 「젊은 용의 고향」에서 ‘조선인’이라는 차별을 벗어나기 위해 지원하였다는 조선인신병의 답변이 말해 주듯이 영화 <사랑과 맹서>의 에이류처럼 죽음으로 내몰리는 피식민자의 신경증적 우울은 지워지는 로칼리티처럼 벼랑 끝에 서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comparing similarities between <Love and Oath(愛と誓ひ)>(1945, directed by Choi In-gyue) and <The home of a young dragon(若い龍の鄕)>(Nov. 1944, from ‘National literacy’), presumes. This study intends to se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films based on <Under the Jet(ジ工ト機の下に)>, a disappeared scenario by O Yeong-jin, how its identity had been formulated and changed in the permitted boundaries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anonymous directors and obscure directors.
    I examined O Yeong-jin’s film theory from 『National Literary』, published in 1942, and then film symposium based on <Under the Jet(ジ工ト機の下に)>, a propaganda scenario by O Yeong-jin. So I could read O Yeong-jin’s report which had been written by the Navy Department’s order and his change in film. O Yeong-jin asserted that the films what can answer to the question ‘how can volunteers be born?’ were needed and the process to cover the Korean families whose son or sons volunteered in real should be involved. Also he emphasized the films’ role as a ‘national cultural assets’.
    <The home of young dragon(若い龍の鄕)>, a report by O Yeong-jin, was a documentary in report style. In which, ‘I’, scenario writer, was asked to report for the films of Korean volunteers by the Navy Department. Also <Love and Oath(愛と誓ひ)> was the film that was developed by Eiryue’s report about Murai second lieutenant’s home who had died as a ‘Kamikaze’. In this film, Eiryue, moved by Murai second lieutenant’s wife, finally volunteered to the Navy Department and became a ‘Kamikaze’.
    These two works have various common things except that the Navy Department had important role in their creating process. In <The home of young dragon(若い龍の鄕)>, a report by O Yeong-jin, big streets with cherry trees are stressed symbolically. As like it, in <Love and Oath(愛と誓ひ)>, cherry trees were stressed as an inserted scene, and were stressed as an long-take scene in the last scene that Eiryue enlisted in the army walking in the street with cherry trees.
    The characters who had same nature in these two films were ‘the father of Murai second lieutenant’ and ‘recruits chief’. They sent their sons to the suicide squad and stressed spiritual education to send their students to war fields. And both had a profound knowledge of calligraphy, exchange letters each other, were transcendental characters, and were portrayed as the fathers of militant nation. In <Love and Oath(愛と誓ひ)>, some scenes of <Baebangyi Exorcism> and <Meng jinsa’s happy event> were repeated, commonly the heroine or hero left to the ideal world winning neighbors’ sending.
    Just the difference of <Love and Oath(愛と誓ひ)> with other works, Song-goon, a soldier at the front, was not a hero. The scene that heros left one’s hometown winning neighbors’ sending was seen with its fixed pattern in his works. The locality of Korea which were seen in <Baebangyi Exorcism> and <Mengjinsa’s happy event> was sank into <Love and Oath(愛と誓ひ)>as a commonness of imperialism. In the sight of imperialism, Korean speciality had should been removed and getting rid of Korean speciality was a needed process to be the new people for Japanese Imperialism. In <Love and Oath(愛と誓ひ)>, the Korean song functioned as a part of farewell party for Song-goon, but also it functioned as a motive of the colonists’ disruption like Eiryue’s pulling out petrol in the bus that Song-goon will ta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