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의 여성동성애 담론 — 신문 보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 (The Discourse of Female Homosexuality in Modern Japan – Focused on the Frame of Newspapers Reporting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2.12
23P 미리보기
근대 일본의 여성동성애 담론 — 신문 보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43호 / 259 ~ 281페이지
    · 저자명 : 조주희

    초록

    18세기까지 기독교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동성애를 단죄했던 서양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에도시대까지 동성애에 관대했다. 동성애라는 개념도 존재하지 않았고 남성간의 성적인 관계는 ‘남색’만이 처벌의 대상이었다. 이에 반해 여성동성애에 관해서는 근대 이전에는 보고된 사례가 드물고 여성간의 관계를 지칭하는 어떤 용어도 없었다.
    본고는 여성동성애가 보도되기 시작한 메이지시대부터 쇼와시대까지의 신문과 잡지의 기사들을 통해 여성동성애 사건을 보도하는 미디어의 행태를 분석하고, 그것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 그리고 동성애자가 병리화되어 가는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동성애 담론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여성동성애의 확대는 여학생과 깊은 관계가 있는데, 1899년 고등교육령이 시행된 후에 도도부현(都道府県)에 필수적으로 한 개교 이상은 설치해야 했던 여학교를 기반으로 늘어난 여학생과 그들의 소녀문화, 특히 여학생들간의 친밀한 관계가 세간의 관심거리가 되면서 사회문제화 되었다. 아울러 다이쇼기에 등장한 신여성의 자주적 행동, 파격적 행보 등은 페미니즘 역사에 있어서는 가부장제도와 남권주의 체제에 도전하고 이상적 여성상인 현모양처에 반기를 드는 여성해방운동의 주체자로 평가되는 반면, 미풍양속을 해치고 전통적인 이성애주의 사회를 교란시키는 반사회분자로 낙인찍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여성동성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이 형성된 데에는 당시의 신문이라는 미디어의 역할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여성 동반자살에 관한 기사는 이미 메이지시대부터 있었지만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는데, 1911년에 발생한 니이가타현의 두 여학생의 동반자살을 계기로 ‘여학생’과 ‘여성 동반자살’에 대한 신문 기사 및 논평이 증가일로, 이들 여학생들이 혹여나 『청탑』 동인화 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 한 언론이 <여성동성애자=정신병, 이상 심리, 타락, 일탈자>라는 프레임을 씌워 멸시와 혐오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고 사람들의 저항심을 강하게 만들었다.
    남성동성애에 관한 기사와 비교해 보면 편향성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그 배경에는 가부장적 사회의 남녀 차별과 비이성애자 차별이라는 이중 차별과, 황국시민의 육성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훼손하는 불순자들을 견제하고 감시하려는 메이지, 다이쇼 정부의 국가정책과 이에 따른 언론 통제, 그리고 이를 아젠다로 설정하여 집중화시킨 신문사의 프레임 전략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figuring 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discourse of homosexuality by analyzing the type of media that was chosen for the reporting the homosexuality cases and looking into its effects on society and the pathologizing phenomenon of homosexuality by utilizing the published data including the articl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Meiji era, when the homosexuality had started to be reported, to Showa period.
    The extension of female homosexuality is strongly connected to female students. In 1899, based on the increased number of female students along with the public policy that at least one female school had to be established in Prefectures of Japan after implementing the Higher Educational Decree, the increased number of female students and their girl culture, especially the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became sensational, resulting in a social problem. Furthermore, in terms of the history of feminism, the modern woman’s independent behaviors and unprecedented moves emerged in Taisho period, including challenging patriarchy and masculism, were evaluated as the arbiters of women’s liberation. However, those movements, opposing the ideal women’s figure, good wife and wise mother, and disturbing the traditional heterosexist society with the demolition of fine custom, served as a momentum of stigmatizing as an anti-society factor.
    However, the media, newspapers in detail, played a crucial role in creating such a negative impression of homosexuality. Although there already had been articles regarding female mass suicide in the Meiji era, they haven’t been spotlighted remarkably. However, with the incident of the mass suicide of two female students in Niigata Prefecture in 1911, the number of articles and comments in newspapers related to ‘a female student’ and “massive female suicide” was increased. At that time, the press, was extremely afraid of the females’ identification to the “Cheongtop”, framed the image, <female homosexuality = psychopathy, abnormal mentality, and deviation>, and degraded them into the subjects of contempt and disgust, empowering the public’s resistance.
    Compared to the articles on male homosexuality, the bias framed on female homosexuality is sharply revealed. From the phenomenon, it can be reasoned that those actions, dual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discrimination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discrimination on non-heterosexuals, Meiji and Taisho government’s national policy and the following press control to monitor and supervise the impurities who destroy the national goal, fostering imperial citizens, and the newspaper’s framing strategy to draw attention by setting agenda, have valid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