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이愛’의 수용과 축출 -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 연구 (The Acceptance and Expulsion of Ai[愛]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아이愛’의 수용과 축출 -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4호 / 39 ~ 78페이지
    · 저자명 : 이경림

    초록

    이 논문은 이광수의 첫 단편소설 「愛か」(1909)와 이후 이 소설을 ‘다시 쓰기’한 「윤광호」(1918)에 초점을 맞춰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을 한 피식민자의 자기 근대화와 그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축출이라는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1900년대 후반 이광수를 포함한 도쿄 유학생 집단 내에서 근대화가 중요한 당면 과제로 공유되었다. 이들은 사회와 국가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원이 될 근대화된 주체 ‘개인’을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그 주요 수단으로 예술에 주목했다. 이광수는 「愛か」에서 전근대 체제에서 해방된 ‘개인’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愛’를 문학화했다. 여기 포착된 ‘아이’의 핵심은 주체의 내면을 불안, 초조, 기대, 절망, 분노와 같이 통제 불가능한 감정이 융기하는 무대로 경험케 하는 것이다. 이 텍스트의 목표는 ‘아이’를 통해 ‘내면’이 지각되는 것, 즉 ‘아이’의 수행성 그 자체를 포착하는 데 있었다. 여기서 ‘아이’는 자아를 개별적이고 고유한 내면의 소유주로 거듭나게 하는 ‘근대화’의 기술이다. 이 표상 모델은 당시 일본 학생 문화에서 유행하던 소년애(少年愛) 모델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 핵심은 ‘아이’ 자체의 특성인 ‘정신성’의 전유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가 전유한 ‘아이’ 모델은 피식민자에게 기입된 타자성이다. 이 기술은 피식민자가 자기 근대화의 도구를 제국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증명으로도 기능한다. 이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자각과 축출은 「윤광호」에서 텍스트화되었다. 이광수 문학의 무게중심이 ‘개인’보다 ‘민족’으로 더욱 기울면서 감정의 위상과 기능 역시 변화하게 되었다.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이었던 감정은 이제 ‘개인’을 ‘민족’으로 귀속시키는 공동체 형성의 기술로 변화한다. 「윤광호」는 ‘개인’을 형성하는 ‘근대화’ 기술로서 ‘아이’를 수용했던 「愛か」를 의도적으로 다시 씀으로써, ‘아이’를 민족으로의 탈개인화를 방해하는 장애물로 다시 발견하고 그 주체의 죽음을 도출했다.
    ‘아이’의 식민주의적 성격을 직시하고 부정하는 「윤광호」의 작업은 주체의 민족주의적 탈식민 과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은 또한 부분적으로 호모섹슈얼리티를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서구적 근대성에 의지해 수행되기도 하였다. ‘아이’를 성적이고 개별적인 육체에 결박된 것으로 표상하는 작업은 서구 발 성 과학 담론의 호모섹슈얼리티 표상 모델을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광수 문학의 동성애 표상에 나타난 ‘아이’의 수용과 축출은 서구 발 근대화라는 거대한 운동의 지평을 벗어나지 않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as a progression from self-modernization to expulsion of the colonial modernity focusing on his first short story “Aika[愛か]”(1909) and “Yoon Kwang-ho[윤광호]”(1918) which is rewritten version of “Aika”.
    Moderniza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hallenge in the late 1900s within a group of Korean students in Tokyo, including Lee Kwang-soo. They shared the perception that in order to modernize society and the nation, they must first modernize individual who will become its members, and regarded art as a major means. Lee Kwang-soo utilized Ai愛 as a technique to free individual from the pre-existing system. The core of it captured here is to experience the inner side of the subject as a stage where uncontrollable emotions such as anxiety, nervousness, expectation, despair, and anger rise. The goal was to capture the interiority formed by experiencing Ai. Here, Ai is a technology of making an owner of his own unique individual interiority. This representation model takes the form of Shonenai which was popular in Japanese student culture at the time, but the core of it lies solely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Ai itself, the spirituality.
    In this sense, Ai which was originated in Japan is Otherness engraved into the colonized. Ai functions as a kind of colonialist proof that the colonized can achieve self-modernization only by the empire. The awareness and eviction of this colonial modernity was captured in “Yoon Kwang-ho”. As the center of gravity of Lee Kwang-soo's literature has shifted more to nation/ethnicity than to individuals, the status and function of emotions has also changed. Emotions that used to be techniques to form modernized individuals now change into community-building techniques. By deliberately rewriting “Aika”, which accepted Ai as a modernization technology that forms an individual, “Yoon Kwang-ho” rediscovered it as an obstacle to building of the national community and derived the death of the subject.
    “Yoon Kwang-ho” which faces and denies the colonialist nature of Ai, can also be read as the nationalist decolonization process of the subject. However, such denial was also partly carried out by Western modernity, which defined homosexuality as abnormal. This is because representing homosexual love as tied to a sexual and individual body is to follow the homosexual representation model of Western sex science discourse.
    In this sense, the acceptance and expulsion of Ai depicted in the representation of homosexual love in Lee Kwang-soo's fic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horizon of the great movement of modernization from the W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