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샤르댕 “앞에서”. 그 교훈과 시각성 (Devant Chardin. La leçon et le visuel de Chard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11
37P 미리보기
샤르댕 “앞에서”. 그 교훈과 시각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 / 78권 / 172 ~ 208페이지
    · 저자명 : 정상현

    초록

    본고의 목적은 샤르댕 그림의 자연의 힘이 어떻게 부셰에게는 교훈 이 되고 현대 미술의 딜레마인 보이지 않는 것의 시각화에 선구자적 역 할을 했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디드로는 부셰의 그림에서 시적 표현 인 마법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 기법은 부자연스러운 형상과 질료의 표현으로 그의 그림을 짓누른다. 디드로는 샤르댕이 미술학도들에게 주문하는 “차분함”이 없다고 판단한다. 결국 1769년 살롱전까지 출품 된 부셰의 그림은 이 판단을 뒤집을 만한 표현을 하지 못하였고, 디드 로와 다른 연구자들로부터 진정한 “마법사”의 작위를 수여 받지 못하 였다. 다른 한편, 디드로는 샤르댕의 「가오리」에서 우주의 생명현상인 감수성을 본다. 이 감수성이 새로운 형태를 끊임없이 창조하는 행위라 는 점에서, 잠재성과 운동과 형상가능성이라는 변화의 의미를 품고 있 는 들뢰즈가 베이컨의, 위베르만이 안젤리코의 그림에서 각각 해석한 디아그람, 시각성과 맞닿는다. 감수성-디아그람-시각성은 이렇게 그림 안 형상들의 생성 관계와 무한한 해석 가능성을 성립시킨다. 그래서 이 세 개념은 항상 무엇이 “되기”를 의미한다. 이 세 화가와 비평가들이 만나는 지점이다.

    영어초록

    Diderot fait la critique sévère du “tapage” insupportable des tableaux rococo de Boucher mê̂me s’il y trouve l’imagination particulière comme “l’image d’un délire” et “le rê̂ve d’un fou”. Certes, ces formes de pensée dont le génie seul est capable de jouir dans les idées esthétiques de Diderot permettent de contrevenir aux certitudes d’une pensée de la grammaire de l’image. C’est là où Diderot regarde la magie de Boucher. Cependant ce peintre ne cesse de représenter “le tapage et l’absurdité” dans ses tableaux. Et Diderot continue à se lancer dans une diatribe contre lui et regrette que la leçon de Chardin lui manque : “de la douceur”. Devant Chardin, Diderot regarde le mouvement de la nature. Surtout dans la Raie, la couleur est nommée “transpiration”. Le seul mouvement proposé est celui des atomes colorés. C’est l’expression de la sensibilité diderotienne qu’est la vie, la capacité de se produire et de se reproduire. Cette toile de Chardin brouille donc la distinction entre la nature morte et la nature vivante. on peut dire qu’il s’agit de “rendre visibles des forces invisibles”56). C’est la question posée par Deleuze dans Logique de la sensation. Ce philosophe théorise cette question épineuse, en analysant la façon de procéder de Francis Bacon où il introduit l’idée de diagramme. Celle-ci convoque le virtuel et s’avère fondamentale pourpenser la création. Didi-Huberman la théorise surtout dans les tableaux de Fra Angélico en forgeant la notion de visuel pour exprimer l'intrication dialectique du visible et de l'invisible. Le visuel est une figure où l'invisible s'incarne dans le visible. C'est la définition même de ce que Didi-Huberman appelle “le symptô̂me”. C’est pourquoi ces deux notions inclusent la figurabilité infinie, formes instables en perpétuel mouvement et la réalité du devenir. Ce mouvement invisible ou la vibration universelle aux antipodes du schéma, c’est la sensibilité, le diagramme et le visuel. C’est là où se rejoignent ces critiques d’art et ces peint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