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盎葉記』의 지식 정보 편집 양상과 그 저술 의식 (Aspects of Knowledge Editing and Author's Consciousness in Angyeobgi(盎葉記))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2.03
35P 미리보기
『盎葉記』의 지식 정보 편집 양상과 그 저술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0권 / 70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강진선

    초록

    이 글은 아정 이덕무(1741~1793)의 저서 『앙엽기』를 대상으로, 해당 저술에 수집된 다양한 지식 정보 활용 양상 및 그 저술 의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앙엽기』는 범칭 ‘소백과사전’이라 불리우는 이덕무의 저작으로, 그가 일생에 걸쳐 조금씩 모은 지식 정보의 묶음이다. 『앙엽기』는 이미 인지도가 높고 연구자의 활용이 빈번했던 저술이나, 실제 그 면목이 어떠한지는 상세히 논의된 바 없었다. 본론에서는 먼저 『앙엽기』 저술의 내용적 특징을 일괄하기 위해 임의로 그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역사 인물・사적, 문물・제도・풍속, 글자・어휘 훈고, 천문・자연・현상, 단상・내면 술회, 기타의 여섯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 여섯 가지 주제 분류를 관통하여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앙엽기』의 특징은, 첫째. 역대 한반도 국가의 역사・사적・문물・언어・풍속에 대한 관심과, 둘째. 당금의 문물・풍속・사건에 대한 관심이다. 다음으로 『앙엽기』에서는 두 가지로 대별되는 지식 정보의 교직 방식이 보이는데, 하나는 목록화 작업, 다른 하나는 고증학적 연구 방법이라 지칭할 수 있는 대조 및 검증 작업의 수행이다. 전자가 지식 정보의 양적 확충을 목적한다면, 후자는 지식 정보의 질적 확충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방식들은 18세기 초반 『성호사설』로 대표되는 필기・유서류 저술에서, 19세기의 『오주연문장전산고』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흐름을 반영한다. 이상 『앙엽기』의 교직 방식을 통해서는 사소한 지식 정보까지 최대한 많이 집적하여, 그것을 전부 충실히 기록하겠다는 이덕무의 의식과, 근세의 서적을 통해 최신의 지식 정보를 얻고, 더 세련된 학술적 접근을 추구하는 경향 두 가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소한 지식 정보의 망라와 ‘지금 여기’의 중시는 『앙엽기』 저술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으며, 사소한 지식을 확충하여 총괄하되 이를 세련된 지식 정보의 집체로 만들려 한 이덕무의 기민한 감각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knowledge compilation and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Angyeopgi(盎葉記) by Lee, Deok-mu (1741~1793). Angyeopgi is a work commonly called a ‘small encyclopedia’. This book is a bundle of knowledge collected by Lee during his lifetime. Angyeopgi was already well-recognized and used frequently by many researchers, but the actual aspect of 『A』 has not been discussed in detail. First of all, for the convenience of discussion, the contents of Angyeopgi a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historical figure and event, culture, system and customs, Vocabulary interpretation and etymology, astronomy and natural phenomena, fragmentary thought and inner confession, Others.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Angyeopgi that penetrates these six categories. First, It is an interest in the history, historical sites, culture, language, and customs of countries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econd, It is an Interest in contemporary culture, customs, and events. In other words, it is about the contemporary Joseon where Lee Deok-mu lived. On the one hand, in Angyeopgi, two different types of methods of using knowledge information are observed. First, cataloging or listing, and second, collation and validation,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scertaining something to be true through philological research. While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qualitative expan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se two methods reflect a literary transformation of the biji(筆記) or leishu(類書) genre in the late 18th century, between the appearance of Seonghosaseol (星湖僿說) and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There are two things to note from all of the above: the author's intention of accumulating trivial knowledge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recording it faithfully, and his tendency to obtain the latest knowledge information through the latest books and to pursue a more sophisticated academic approach in Angyeopgi. In conclusion, these two are the core of the writing of Angyeopgi. And this is related to Lee's keen literary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