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도 운문사 작압전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tone Images of Seated Buddha and Four Guardian Kings Enshrined in Jakapjeon Hall at Unmunsa Templ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0.12
40P 미리보기
청도 운문사 작압전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0호 / 395 ~ 434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운문사 작압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은 지금까지 태조 왕건의 후원에 의해 청태 4년(937)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것은 『삼국유사』 「보양이목조」에 의거한 것으로서, 당에서 귀국하여 봉성사에 머물던 보양조사가 태조 왕건에게 전술의 비책을 알려줌으로써 그와 각별한 인연을 맺게 되고, 이후 보양조사가 대작갑사로 옮겨 무너진 전탑(黃塔)을 다시 세우고 주석하던 중, 삼국통일을 완성한 태조가 밭 500결을 하사하고 ‘운문선사’라고 사액하여 운문선사가 크게 중창되었다는 내용에 근거하여 그 시기를 조성시기로 이해한 것이다. 그런데 작압전의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납석제 사리호의 명문에 의하면 咸通 6년(경문왕 5년, 865)에 탑의 수리가 이루어 졌으며 원래의 작탑에서 지금은 ‘작압’이라는 현판이 달린 목조건물의 형태로 바뀐 작압전의 전신이 塼塔이었음이 알려져 있다.
    작압전의 사천왕상은 신라하대 석탑과 승탑에 부조된 사천왕상들과의 비교를 통해, 860~880년대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탑 남면과 북면의 초층 탑신 탑문의 좌우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네 구의 사천왕상의 크기는 두 구는 151-152cm, 두 구는 161~162cm 이므로 두 구가 한 쌍이 되어, 동방 지국천왕-남방 증장천왕-서방 광목천왕-북방 다문천왕이 시계 방향 순으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천왕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되었다고 생각되어 왔던 석불좌상은 2007년 얼굴에 덮혀 있던 호분이 제거되고 보수되어 原 모습을 알 수 없으나, 광배와 대좌의 형태면에서 신라하대~고려초기 불상으로는 편년하기 어려운 요소가 발견된다. 가로(橫)로 긴 육각대좌는 상대 연화좌의 연화문에 여의두문과 유사한 세 개의 꽃머리 장식이 새겨져 있고, 나말여초 석불 대좌에서 발견되는 중대석 받침(괴임석)이 보이지 않으며, 광배는 2중원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성으로 化佛과 초화문으로 장식된 나말여초 석불의 광배와는 차이가 크다. 조형적인 분석을 통해서 석불좌상의 조성시기는 고려중기 왕실과 긴밀하게 활동했던 학일선사가 운문사로 하산하였던 12세기 전반 무렵일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는 고려 왕실을 중심으로 도선에 대한 현창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때인데, 운문사의 전탑이 청도지역의 비보사탑으로 새롭게 보수되고 사찰의 중창이 크게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Stone Images of Seated Buddha and Four Guardian Kings enshrined in the Jakapjeon Hall(鵲鴨殿) at Unmunsa Temple(雲門寺) have long been regarded as sculptures of early Goryeo period from around AD 937 under the patronage of the First King of Goryeo(Wang Geun). According to Samgukyusa(三國遺事) monk Boyang(寶壤), returning from Tang China, stayed at a temple called Bongseung-sa, and happened to meet the First King(Taejo) of Goryeo, whom Boyang gave a clever scheme to defeat enemy troops. Later Boyang moved to Daejakgap-sa and reconstructed the five-storied brick-pagoda, which was most likely erected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and destroyed during the war of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t that time, Wang Geun accomplish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nd presented the new temple name of ‘Unmunseun-sa(雲門禪寺)’ and five hundred ‘geul(結)’ of paddy and field to support the temple.
    In 1987, however, sarira reliquaries were excavated beneath the stone Buddha image of Jakapjeon, which is now a wood and tiled roof building, although its ancestral form was most likely brick pagoda. Among the reliquaries, a stone pot bears an inscription of the year AD 865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s the repaired date of the pagoda, which indicates that the brick pagoda was first erected earlier than AD 865.
    Comparing the stone Four Guarding King images with those of the ninth century images carved on the surface of monk sarira pagod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stone Four Guarding King images of Unmunsa were most likely made no earlier than AD 860 and no later than AD 880 of the Unified Silla period. Since two of the Four Guardian Kings are 151-152cm in size and two of them are 161-162cm in size, it can be presumed that a pair of similar sizes we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gate on the first floor of the brick pagoda: Guardian King of the East and South on the south wall and those of the West and the North on the north wall of the pagoda.
    Although the face of the stone Buddha image was heavily repaired and does not convey the original facial expression, its halo and pedestal still show the original condition of the image. The stone pedestal of six angles, a rare form in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doesn’t have the buttress platform supporting the middle part of the pedestal, which is common of pedestals from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Besides, the pedestal of Uunmunsa, compared with the Goryeo stone hexagonal pedestals of Goryeo 11th century, lacks exquisite quality. A rather simply designed halo, it has two embossed circles encircled by a flame, while the halos of the stone Buddha images of the late ninth and early Goryeo period have decorative designs of incarnation Buddha images and beautiful plants. Stylistic aspects of the halo and the pedestal of the stone Buddha image of Uumunsa demonstrate that this image can be dated to the first part of the 12th century, when Goryeo court supported Uunmunsa probably because of the eminent monk Hakil, who had been in King Injong’s confidence and left capital Gaeseung to retire and reside at Uunmunsa until his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