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의 원류, 다양한 수용: 중국 당대(唐代) 보리서상(菩提瑞像)과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 (One Prime Object, Different Receptions: ‘The Auspicious Image of Bodhgaya’ in Tang China and the Buddha Statue a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3.10
46P 미리보기
하나의 원류, 다양한 수용: 중국 당대(唐代) 보리서상(菩提瑞像)과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2호 / 260 ~ 305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이 글은 인도 보드가야 마하보리사에 있는 항마촉지인 불좌상을 도상적 원류로 삼고 있는 중국과 한국의 두 상을 비교하여 둘 사이의 형태적 차이가 갖는 미술사적, 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강우방, 김리나 등 여러 선학들의 연구에 의해 마하보리사의 성도상과 도상 및 크기가 같다고 알려진 석굴암 본존불과 최근 수정적인 연구를 통해 역시 마하보리사 상을 모사한 것으로 밝혀진 중국의 보리서상(菩提瑞像)은 모두 촉지인을 결한 불좌상으로 그 형식은 같으나 후자의 경우, 목걸이와 보관 등과 같은 장신구를 함께 하고 있어 세부적인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하나의 원류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두 상 사이 이와 같은 형태상 차이가 어떤 문화적 배경 하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피며, 도상의 유행 및 전파, 인식과 수용, 복제와 모사, 영향과 주관성 등과 같은 이론적인 문제를 탐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famous Buddha statue at the Mahabodhi temple in Bodhgaya, India was differently understood and replicated in Tang China and Unified Silla Korea during the late seventh and eighth centuries.
    Witnessed by the Chinese pilgrim monk Xuanzang (ca. 602-664) in around 635, the image at the Mahabodhi Temple became a famous object since he returned to China in 645. His travelogue, Da Tang xiyu ji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in the Great Tang), served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image, triggering a number of travelers to Bodhgaya in the following decades. One of the results of such travels was the importation of sketches and replicas of the image to China by pilgrims and travelers on their way back, as recorded in several writings of the late seventh century. Presumably due to such transmissions, we witness an explosive emergence of the Buddha statues in bhumisparsa mudra in China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most of which were made modeled after the Bodhgaya statue. Furthermore, the same type of Buddha image appeared in Korea at least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about which many scholars have understood as the impact of Bodhgaya on Silla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China.
    This paper focuses on two of such replications made i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The Chinese case is known as the “Auspicious Image of Bodhgaya/Bodhi Tree” by inscription, and the Korean example is located in the well-known stone grotto Seokguram in Gyeongju. Although the two statues have been regarded as close replications of the image at the Mahabodhi temple sharing the distinctive hand gesture (bhumisparsa mudra), a mudra displayed by the Indian image, their detail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hinese example is heavily decorated with various ornaments such as necklace, bracelet, and a crown, all directly carved on the body, whereas the one at Seokguram is without such jewelry. This paper starts with the question of in what ways the two examples, despite its formal disparities, claim their resemblance to the prime object. Investigating different cultural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two statues were created and different focuses with which the two establish special connection to the prime object (ornamentation and size respectively), it delves into theoretical issues including transmission, influence, replication, reception, and subjectivity, issues that have occupied the main stream in the study of Chinese and Korean Buddhist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