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 진천의 사례로 본 관료·지주층 주도 국채보상운동의 명(明)과 암(暗) (A Study on the Light and Shadow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Led by Bureaucrats and Landowners: Focusing on the Case of Jincheon in Chungcheongbuk-d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5.05
44P 미리보기
충북 진천의 사례로 본 관료·지주층 주도 국채보상운동의 명(明)과 암(暗)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90호 / 5 ~ 48페이지
    · 저자명 : 이용철

    초록

    본 연구는 진천의 국채보상운동을 살펴본 것으로, 운동의 전개 양상, 의연자의 참여 경로와 규모, 운동을 주도한 관료·지주층의 참여 양태와 그것이 갖는 성격 등을 검토하였고, 특히 관료·지주층의 활동과 관련해서는 그들의 재산을 광무양안을 통해 추적해보았다. 진천의 국채보상운동에 대한최초의 연구이자, 광무양안을 접목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으로, 또한 연구방법론적으로 의미를 갖는다.
    진천은 신문 발간일을 기준으로 3월에 시작되어 10월까지 이어졌다. 총2,315명 이상이 운동에 참여하여 140,027.5전(1,400원 27전 5리)의 의연금이 수합되었으며, 운동의 최고조기는 5~6월이었다.
    이 지역 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전현직 관료이자 지역의 대지주들이 운동을 주도했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주축이 된 鎭川郡國債報償會義務會의활동으로 운동이 크게 확대되었고, 이들의 의연금은 진천지역 의연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이들이 전현직 관료로서 운동이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평판과 명망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 더나아가 동시기를 적자생존의 시대로 인식한 가운데 국가의 생존을 위해운동 참여·주도 필요성을 느꼈다는 것, 또한 경제적으로 대지주였다는 점에서 가능할 수 있었다. 다만 이들은 추후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이어나가지는 않았다.
    하지만 진천은 인구가 적음에도 충북에서 가장 많은 의연자를 내고 있었다. 지역의 전현직 관료이자 대지주들이 운동을 추동한 경향성을 간과할수는 없겠으나, 어디까지나 이 같은 현상은 국망의 위기에 처한 국가의 국권 회복을 위해 빈한한 가세를 돌보지 않고 운동에 참여한 진천지역 주민들의 열성이 뒷받침된 결과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the Jincheon area, focusing on the movement’s development, the participation routes and scale of contributors, an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nvolvement by bureaucrats and landowners who led the movement.
    Notably, the study traces the economic power of these leading figures by utilizing the Gwangmu Yangan records. This approach holds historical significance as no prior research had been conducted on Jincheon, despite it being the region with the highest number of participant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Furthermore, no studies had previously analyzed the economic power of the leading class by linking it with separate data sour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vement in Jincheon began in March, based on newspaper publication dates, and continued until October. More than 2,315 people participated, raising a total of 1,400 won 27 jeon 5 ri in donations, with the movement peaking between May and June.
    A key feature of the movement in Jincheon was the leadership of former and incumbent bureaucrats and major landowners. In May, the Jincheongun National Debt Repayment Association was established, primarily composed of these influential figures, which marked a turning point leading to the rapid spread of the movement. These lead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large-scale donations in the Jincheon area, making them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ors in terms of both leadership and financial support. This was likely because, as former and incumbent bureaucrats, they were conscious of their reputation and social standing during a nationwide movement. Additionally, they perceived the era as one of survival of the fittest, feeling a sense of duty to participate in and lead the movement for the nation’s survival. Their economic power as major landowners also enabled their substantial contributions.
    However, when examining the subsequent actions of those who led the movement in Jincheon, a rather negative conclusion emerges regarding whether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served as a foundation for further independence movements. Specifically,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y clear participants who later engaged in independence activities. In fact, figures like Min Won-sik, who actively supported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and became a symbol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were found to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the Jincheon movement.
    However, despite its small population, Jincheon produced the highest number of donors in Chungcheongbuk-do. While the role of former and incumbent local officials and major landowners in driving the movement cannot be overlooked, this phenomenon was ultimately supported by the passionate commitment of Jincheon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without regard for their own financial hardships in an effort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in the face of the country’s impending downf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