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지역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and its surrounding Area in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2.09
21P 미리보기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지역의 지질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암석학회
    · 수록지 정보 : 암석학회지 / 21권 / 3호 / 287 ~ 307페이지
    · 저자명 : 이덕선, 강지훈

    초록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지체구조는 한반도의 일반적인 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이 아닌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본 논문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에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 형성과 관련된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암류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D1 변형은 S0 엽리의 상부가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연성전단작용으로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에 F1 칼집 내지 “A”형 습곡과 F1 습곡축면에 (준)평행한 S0-1 복합엽리 내지 S1 엽리와 D1 연성전단대 그리고 F1 습곡축에 평행한 L1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2) D2 변형은 동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D1 구조요소를 (재)습곡시키는 남북 방향의 F2 개방, 밀착, 등사, 층간 습곡과 F2 습곡축면에 (준)평행하게 발달하는 D2 연성전단대와 S0-1-2 복합엽리 내지S2 엽리와 D2 연성전단대에 수반된 S-C-C' 구조와 L2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지질도 규모의 F2 습곡의 날개부에 해당하는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동쪽 경계부를 따라서는 F2 수동적 습곡작용 동안에 입도 세립화와 함께 압쇄구조와 신장선구조를 형성시키는 압쇄암화과정에서 적어도 1.4 km 이상의 폭을 갖고 연장성 있는 남북 방향의 D2 연성전단대(하동전단대)가 형성되었다. (3) D3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동서 방향의 F3 킹크 내지 개방 습곡을 형성시켰고, D3 변형 이전의 남북 방향 구조요소들을 국부적으로 (동)북동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재배열시켰다. D2 변형 이전의 D1 광역 지체구조의 방향성은 현재와 달리 북동-남서 방향이었다.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체에 발달하는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D1 지체구조가 F2 능동 및 수동적 습곡작용에 의해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어 형성되었다. 연구지역의 세 번의 변형작용은 (북)북동 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의 관입 집중기로 알려진 고생대 말 이전에 발생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the Precambrian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HNAC) and the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and the Mesozoic granitoids which intrude them. Its tectonic frame is built into NS trend, unlike the general NE-trending tectonic frame of Korean Peninsula. This paper research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t each deformation phase to clarify the ge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which was built in the HNAC and JMRC.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were formed at least through three phases of deformation. (1) The D1 deformation formed the F1 sheath or “A” type folds in the HNAC and JMRC, and the S0-1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1 foliation and the D1 ductile shear zone which are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1 fold, and the L1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parallel to the F1 fold axis owing to the large-scale top-to-the SE shearing on the S0 foliation. (2) The D2 deformation (re)folded the D1 structural elements under the EW-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formed the NStrending F2 open, tight, isoclinal, intrafolial folds with the S0-1-2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2 foliation and the D2 ductile shear zone with S-C-C' structure and the L2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2 fold. The extensive D2 ductile shear zone (Hadong shear zone) of NS trend was persistently developed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HNAC and JMRC which would be to the limb of F2 fold on a geological map scale. The Hadong shear zone is no less than 1.4 km width, and was formed in the mylonitization process which produced the mylonitic structure and the stretching lineation with the reduction of grain size during the F2 passive folding. (3) The D3 deformation formed the EW-trending F3 kink or open fold under the NS-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partially rearranged the NS-trending pre-D3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The regional trend of D1 tectonic frame before the D2 deformation would be NE-SW unlike the present, and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in the HNAC and JMRC like the present was formed by the rearrangement of the D1 tectonic frame owing to the F2 active and passive folding. Based on the main intrusion age of (N)NE-trending basic dyke in the study area, these three deformation events are interpreted to have occurred before the Late Paleozo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암석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