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9세기 이슬람 철학의 칼라암(Kalām)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구 (A Cri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Kalām in Islamic Philosophy between the Eighth and Ninth Centur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2.12
12P 미리보기
8-9세기 이슬람 철학의 칼라암(Kalām) 개념에 대한 비판적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61호 / 21 ~ 32페이지
    · 저자명 : 박규철

    초록

    김요한의 논문 “8-9세기 이슬람의 신학적 철학으로서 Kalām에 관한 연구”은 이슬람 합리주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이슬람 합리주의의 극한 지점인 12세기로 향하지 않고 그 시작 지점인 8-9세기에 주목한다. ‘무타질라 학파’로 대표되는 초기 이슬람 합리주의를 탐구하는 그의 논문은 그리스 철학을 경원시하던 이슬람 사회가 철학과 조우하게 되면서 얻었던 다양한 효과들을 칼람 개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분석한다. 나아가 이슬람 신앙과 이슬람 철학, 나아가 신앙과 철학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의 틀 또한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문에는 몇 가지 단점들이 존재한다. 그것을 3가지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요한은 논문의 거의 대부분을 유비와 관련된 개념의 변천사 혹은 유비와 관련된 논리적 방법론 탐구에 할애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논문 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형이상학적 주제들, 예를 들어 ‘신인동형론’(anthropomorphism)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논문의 약점 중의 하나이다. 둘째, 김요한은 개념과 논리로 신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전제 하에서 무타질라 학파의 칼람 논의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8-9세기 초기 이슬람 합리주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하나 이슬람 사회 전체를 놓고 이야기할 때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슬람 사회는 개념과 논리로 신의 본성을 파악하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오래된 전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셋째, 김요한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의 연관성 하에서 이슬람 철학과 그리스 철학의 연속성에 주목한다. 하지만 그는 연속성에 치우친 나머지 그 불연속성, 즉 그리스 철학과 차별화되는 이슬람 철학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는 데는 인색하다. 이는 이 논문의 아킬레스건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이슬람 철학은 그리스 철학과 연속하면서도 불연속하는 관계에 있다. 보편학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그리스 철학과 연속성의 관계에 있으나, 이슬람 공동체가 종교적 체험과 신비를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그리스 철학과 불연속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김요한의 논문은 전자의 측면에 집중한 논문이다. 이제 그 후자의 측면, 즉 불연속성 측면에서 조명된 이슬람 철학 연구를 기대해 본다. 아마도 수피즘은 그 주된 대상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oves to be a result of professional investigation contributing to studying on Islamic rationalism and also remarks on the period between the eighth and ninth century which would be an early period for rationalism, rather than its florescence in the twelfth century in Islamic philosophy. Investigating an early Islamic rationalism represented as ‘a theological school of Mu’tazilah’, the author attempts to sharply categorise and analyse, focusing on the concept of Kalām, a variety of effects derived from the meetings of Islamic and Greek philosophy. In addition he sheds light on the way to approach an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of Islamic society in the Middle Ages.


    Despite these contributing factors, there could be still room for criticism. Firstly due to the fact that the author seems to allocate most of the contents in this article to a transitional history of concepts related to analogy and logical methodology, the essay loses sight on metaphysical themes, such as ‘anthropomorphism’ which should be significantly dealt with. Secondly, his argument on Kalām of the School of Mu’tazilah fully relies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nature of God can be known by concepts and logical methods. Although this premise must have been a significant topic on Islamic rationalism in the specific period from the eighth to ninth century, it has been bitterly controversial on a general understanding of Islamic philosophy and society. Last but not least, this article pays considerable attention to continuity between Islamic and Greek philosophy only under the consistent impact of Aristotelianism. His partial approach necessarily results in a lack of revealing the essential feature of Islamic philosophy contrast to Greek one. This factor could be an Achilles’ heel.


    In sum, Islamic philosophy lies at the meddling place to be commensurable and incommensurable with Greek one. Arabic core ideas could be enough to share with Greek thoughts in pursuing the universal knowledge, on one hand, at the same time, both of them could be hardly common in that Islamic community had been strongly affected by its own faith relating to religious experience and myster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on both sides of speculative and cultic milieu in Greek culture, the article is only to emphasise the former, or theoretical and logical aspect, rather than the latter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ancient Greek philosophy. For further studying on Islamic philosophy accessing to the mysterious and cosmological, Sufism should be excavated on the preferential ba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