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암화학요법 유방암환자의 인지기능 증진 중재에 대한 논문 분석 (Literature Review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terventions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1.02
7P 미리보기
항암화학요법 유방암환자의 인지기능 증진 중재에 대한 논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종양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Asian Oncology Nursing / 11권 / 1호 / 26 ~ 32페이지
    · 저자명 : 최은희, 정복례, 김경덕, 김경혜, 변혜선

    초록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증진시키는 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증진 프로그램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1990년 이후부터 2010년 6월 현재까지 Ovid (http://ovidsp.tx.ovid.com/sp-3.2/ovidweb.cgi), Pubmed (http://www.ncbi.nlm.nih.gov), Proquest (http://proquest.umi.com) 및 Medline (http://www.ebscohost.com)에서 ‘Chemotherapy’, ‘Breast cancer’,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으로 검색하여 추출된 논문 중 중재연구인 17편이었으며 논문의 경향성,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 특성 및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논문의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이후부터 2001년, 2006년과 2010년을 제외하고 매년 1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으며 분석된 논문의 주요어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유방암, 항암치료, 삶의 질, 인지기능(인지불능)의 순이었다.
    2)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총 17편의 논문 중 실험 전 연구 설계인 원시실험설계를 시행한 것이 4편이었으며, 사례연구가 1편이고 나머지 12편이 모두 유사 실험설계이었다. 대상자 수는 총 300명 이상인 논문이 2편, 200명 이상인 논문이 2편, 100명 이상인 논문이 1편이었으며 총 40명 미만은 유사 실험설계 중에서는 1편이었으며, 중재 기간은 일회성인 즉시부터 30개월까지이었다3) 인지기능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17편의 중재연구 중 단지 6편만 유의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terventions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chemo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 searched databases and selected 17 literatures using chemotherapy, breast cancer, cogni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as searching key words. Searched databases included Ovid, Pubmed, Proquest and Medline and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00 to May 2010. Results: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frequent research topics included breast cancer, chemotherapy,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In terms of study design, four research articles were pre-experimental study designs, one was case study, and the rest of studies were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Effects of intervention were examined in only 5 studies among 17. The interventions were not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in cognitive improvement. Conclusion: It is needed to figure out the mechanism of cognitive deterioration of th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chemotherapy. And nursing interventions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old up the cognitive downhill and help their cognitive rehabili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sian Oncology Nursing”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