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時調史의 흐름과 浣巖 鄭來僑의 위상 (Tendency of Sijo History in 18th Century and Jeong Rae-gyo’s Literary Statu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5.02
30P 미리보기
18세기 時調史의 흐름과 浣巖 鄭來僑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6호 / 423 ~ 452페이지
    · 저자명 : 조지형

    초록

    본고는 18세기 시조사의 전개 구도 속에서 완암(浣巖) 정래교(鄭來僑)의 위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조사의 흐름 속에서 18세기는 중인층 전문 가창자의 출현과 그들에 의해 주도된 가집(歌集) 편찬으로 집약할 수 있는 특징적 면모를 보인 시기이다.
    당시 정래교는 이른바 ‘백악시단(白岳詩壇)’의 일원으로 새로운 시 창작 이론에 공감하고, 홍세태(洪世泰)와 더불어 천기론(天機論)을 본격화하면서 여항문학의 이론적 명분을 확보해 나갔다. 이러한 결실은 홍세태의 『해동유주(海東遺珠)』의 편찬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특히 홍세태의 <해동유주서문>에 보이는 여항문학의 가치를 긍정하는 논리 체계는, 이정섭(李廷燮)·정래교로 이어지면서 시조를 중심으로 하는 중인층 여항 예술인 활동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주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가 『청구영언』의 서발문으로 구체화되었다.
    정래교는 음악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김천택(金天澤), 이태명(李台明), 김성기(金聖基) 등 18세기 시조사와 관련된 주요 가객 및 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모임과 예술 활동의 장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시조 작품의 창작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정래교가 창작한 시조작품의 바탕에는 18세기 여항인들의 향락적·소비적 생활 기풍이 깔려 있으며, 운치 가득한 달밤에 거문고와 퉁소 같은 가악을 동반한 음주, 그리고 여기에서 오는 고고한 흥취를 드러낸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18세기에는 악조상의 변화, 즉 고조-신조의 변화 구도 속에서 정래교는 신조를 긍정하고 지지하였으며, 이러한 연장선에서 신조를 기반으로 음악활동을 이어간 김천택·김성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결국 정래교는 18세기 시조사의 흐름 속에서 시조예술을 중심으로 하는 중인층 여항 예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이론적 명분을 마련해주고, 직접 그들과 어울리며 여러 문예활동을 통해 시조예술의 장을 넓혔으며, 음악상의 변화 국면에서도 그 신조의 흐름에 잘 편승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mainly discussed the status of Wanam Chung Rae-Gyo of the 18th century sijo developmental landscape. 18th century in the context of sijo has distinct points : one is the emerging of middle class professional singers, the other is their poems are published. Chung Rae-Gyo, as a member of so-called ‘Baegak poetic circles’, appreciated the new poem writing theory, and searched in earnest to Cheongi discussion along with Hong Se-Tae and obtained a theoretical cause of Yeohang literature. These efforts lead to the compilation of Hong Se-Tae’s Haedongyuju. In particular, looking at Hong Se-Tae’s “the Introduction of Haedongyuju”, it affirms the value of Yeohang literature in a logical system. As it leads to Lee Jung-Sub (李廷燮), and Chung Rae-Gyo, laid the groundwork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ijo, which focused on the Yeohang plebeian’s artistic activities. At the introduction of Chungguyoungun, the affirmative value of Yeohang literature is materialized.
    Chung Rae-Gyo, with his interests about music, associated with leading ‘Gagaek’ and ‘Arksa’ of 18th sijo context, like Kim Cheon-Tek, Lee Tae-Myeong, Kim Seong-Gi and others. Chung organized various meetings and artistic activities with those people and ultimately started to his creation of sijo.
    The basis of the Chung Rae-gyo’s sijo creative work is the Yeohang group’s pleasure seeking and materialistic lifestyle and ethos, and is characterized by an appearance of people under a full moon, playing such instruments as the Geomungo (a large Korean stringed instrument) and Tungso (Korean bamboo flute), while engaging in other aloof interests. Meanwhile, the changes of the key and mode in the 18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changes of Gojo-Sinjo, Chung Rae-Gyo accepts and supports Sinjo, and he makes a favorable assessment of Kim Cheon-Taek and Kim Seong-Gi, whose music careers also followed by Sinjo tendency.
    Chung Rae-Gyo, in the 18th century’s current of the sijo, layed the groundwork for a theoretical justification to act to the middle class Yeohang artistic groupe specially who wrote sijo. Also Chung made connection directly with many artists, did various literary activities, and broadened the field of sijo. Furthermore Chung could be said the person taking advantage of changes of music aspect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