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중대 조각사에서 석굴암의 양식적 특징과 위상 (A Reassessment of the Construction of Seokguram Grotto and its Statues in the History of Silla Sculp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3.05
30P 미리보기
신라 중대 조각사에서 석굴암의 양식적 특징과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31호 / 6 ~ 35페이지
    · 저자명 : 강희정

    초록

    본고는 석굴암 조각에 관한 양식적인 분석을 통해 창건연대를 재검토한 것이다. 필자는 고신라(古新羅)와 신라 중대는 물론, 인도 및 동아시아 조각을 함께 검토하여 석굴암 조각의 양식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석굴암의 원형을 규명하고자 했다. 석굴암은 완벽하게 계획된 기념비적 불당이므로 전체적인 건축설계안과 공간에 대한 구상이 먼저 수립되고, 중심 예배상인 본존불과 주변 부조 조각을 염두에 둔 총체적 플랜을 만들어 실행에 옮겼을 것으로 생각된다. 석굴암의 창건과 조각 제작은 별개로 이뤄진 일이 아니므로 일부 조각의 특징으로 창건연대를 논의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조각 수법과 양식으로 보면 석굴암은 신라 조각의 체계적인 발전의 결과이며, 중국에서 유입된 화본을 보고 그대로 조성한 것이 아니다.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인 신라에서 오랜 기술의 숙련과 조각가의 훈련이 없이 석굴암 조각이 만들어질 수는 없다. 입체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이상적인 미의 구상 의지가 함께 발전되어야 비로소 구현이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주실 부조는 굴불사 사면석불 조각이나 경주 남산의 다양한 석불, 마애불 조상과 같은 다양한 실험 단계를 거치면서 이뤄 낸 결과물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주실 부조는 기법의 숙련이 바탕에 깔린 중대 신라 조각사의 내재적 발전이면서 정점에 이른 예술적 성취이다.
    같은 시기 중국의 많은 조각과 비교하기 어려운 석굴암 조각에 나타난 비중국적인 요소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보경사 칠보대의 성당 시기 조각이나 일본 텐표시대 조각과 동일한 양식을 보인다고 하기 어려운 것은 석굴암 조각에 서역적, 인도적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석굴암 연구에 있어 건축적인 특성은 인도 석굴에서 구하고, 조각은 중국 불상과 비교하는 이원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식 목조건축이나 석굴사원에서 석굴암 건축의 연원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건축과 조각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관점에서 석굴암을 파악해야 하며, 부분적이거나 단편적인 검토만으로는 처음 건설 당시의 구상과 조성 방식, 기본적인 건축의 방향과 조각의 구성원리를 파악하기 어렵다. 건축의 원리, 본존불과 부조의 조각 기법과 배치 계획안들을 동시에 검토하여 석굴암 설계 당시의 기초 구상과 원형 복원에 가까워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isit the date of their creation through a stylistic analysis of the Seokguram sculptures. By examining Old Silla and Middle Silla sculptures, as well as Indian and East Asian ones, it identifie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stone sculptures to shed light on the prototype of Seokguram. Seokguram is considered a perfectly planned monumental creation. So the overall architectural design and spatial concept are thought to have been established at first and then executed in the mid-8th century.
    The whole plan seems to have covered the making and enshrining of the main Buddha and the surrounding relief sculptures. The creation of Seokguram and the production of sculptures were inseparable. So, it is unreasonable to discuss the date of its creation based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some sculptures in Seokguram. Accumulating carving methods and styles since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eokguram could have reached the highest point of Silla sculpture. In Silla, the last among the Three Kingdoms to embrace Buddhism, stone sculptures like Seokguram carvings could not be made without many years of technical skills and sculptural training. Such artistic achievement can only be reached through developing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the will to envision ideal beauty. Compared to the other sculptures such as the sculpture of the four-sided Buddha images in the Gulbulsa-ji and various stone carvings in Mount Nam (Namsa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and the reliefs on its walls could have been the results of various sculptural experiments. In this sense, the sculptures in Seokguram are the culmination of the artistic achievements in the Silla period, based on their mastery of technique.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does not show the exact same stylistic characteristics that many Chinese sculptures in the High-Tang period had. To clarify the non-Chinese elements i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it needs to consider various circumstances. The principles of construction, the carving techniques of the main Buddha and reliefs, and the layout plans should be examined simultaneously to find ways to get closer to the original project of the Seokguram grot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