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庵 李鍾勳의 국내에서의 민족운동 (Jeong-Am Lee Jong-Hoon’s National Mov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0.12
25P 미리보기
正庵 李鍾勳의 국내에서의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25호 / 157 ~ 181페이지
    · 저자명 : 조성운

    초록

    이종훈은 1893년 동학에 입교하여 1931년 사망할 때까지 천도교인으로서 살았던 인물이며, 천도교의 사상과 조직 하에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는 천도교를 대표한 민족대표로서 3·1운동을 준비하고 지도하였다. 그의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종훈은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여 무력에 의한 변혁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경기도 편의장으로서 기포하여 손병희의 휘하에서 좌익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이후 최시형과 손병희의 피신을 돌보면서 측근에서 보좌하였다. 그리고 1904년 갑진개화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05년 12월 동학이 천도교로 교명을 변경한 후 손병희를 지지하거나 받들며 지방과 중앙에서 천도교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이종훈은 1910년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 보성사 사장 이종일과 협의하여 민중시위운동의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그것은 범국민신생활운동, 민족문화수호운동, 기독교·유림 및 구정객과의 연합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종훈 등이 제시했던 대중화·일원화·비폭력이라는 민족운동의 3원칙과 민중시위운동의 방법론은 곧 3ㆍ1운동의 방법론과 같은 것이었다. 결국 천도교에서는 이미 3ㆍ1운동의 원칙과 방법론을 이미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부터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3ㆍ1운동의 ‘민족대표’로 참여하였다.
    3ㆍ1운동 이후 이종훈은 1922년 고려혁명위원회의 고문으로 참여하였다. 고려혁명위원회는 최시형의 손자이며, 손병희의 조카, 홍병기의 손위 처남인 최동희가 천도교 내의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천도교에 대한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직된 단체이다. 그리고 이후 고려혁명당으로 발전하였다. 이는 이종훈이 1922년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조직한 종의사후원회와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라 보인다. 또한 그가 신구파의 분립시 천도교 신파를 선택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결국 이종훈은 천도교의 혁신을 주장하면서 근대적인 종교로의 발전을 꾀했던 인물이며, 이를 바탕으로 민족운동을 전개한 ‘천도교인’이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Lee Jong-Hoon(pseudonym, Jeong-Am) joined Cheondo-Gyo(or Dong-Hak, a Korean religion) in 1893 and lived in accordance with its doctrine for life. And he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doctrine of Cheondo-Gyo and its organization. In particular, he prepared the ground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n behalf of Cheondoist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wer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Lee Jong-Hoon participated in the peasant movement led by Cheondoists, and developed an armed uprising. He belonged to the group of Gyeonggi Province, and worked as a leftist under the command of Son Byeong-Hee. After the peasant movement, he helped Choi Si-Hyeong and Son Byeong-Hee to flee safely. And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 cultural revolution that broke out in 1904. After the name ‘Dong-Hak’ was changed to ‘Cheondo-Gyo’ in December 1905, he contributed to its development not only at districts but at the central area, backing up Son Byeong-Hee.
    Immediately after Japan occupied Korea by force in 1910, he attempted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s in cooperation with Lee Jong-Il the president of Bo-Seong Company, which was the alliance with Christians, confucianists and old politicians who aimed at nationwide new-life movement and national culture preservation. What is remarkably is that he developed such movements with the motto, ‘Popularization, Unification and Nonviolen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It implies that Cheondoists had prepared the ground of the movement along with the same principle as the 1919 movement. In result, he had been a representative of the 1919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1919 movement, Lee Jong-Hoon participated in Korea Revolution Committee in the capacity of a councilor. The committee was organized by Choi Dong-Hee, a grandson of Choi Si-Hyeong, a nephew of Son Byeong-Hee and a brother-in-law of Hong Byeong-Gi, together with Cheondoists. Afterwards, the committee was developed to Korea Revolution Party, which was in collusion with an organization formed by him on purpose to renovate Cheondo-Gyo. What he chose the new school instead of the old when it is divided, shows his idea well.
    Altogether, it may be concluded that Lee Jong-Hoon was a Cheondoist who insisted on the revolution of Cheondo-Gyo and aimed to advance to a modern religion and developed a national movement on the basis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