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에서 조기 대장암의 형태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Early Colon Cancer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04.09
7P 미리보기
한국인에서 조기 대장암의 형태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Endoscopy / 29권 / 3호 / 126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흥업, 김영호, 송상용, 정정환, 김종형, 김경희, 심상군, 손희정, 이풍렬, 김재준, 이종철

    초록

    목적: 최근 대장암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대장암의 조기발견 및 치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조기 대장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대장암의 발암기전으로 adenoma-carcinoma 기전 이외에 de novo 기전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조기 대장암의 형태학적 특성과 de novo 대장암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조직슬라이드를 검토하였다. 병변이 점막 또는 점막하층까지 침범한 경우를 조기 대장암으로 하였고, 크기가 1 cm 미만으로 암조직 주변에 선종이 동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de novo 조기 대장암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3,072명의 대장암 중 조기 대장암은 192명에서(6.2%) 196예가 발견되었고 심달도가 점막층, 점막하층인 경우가 각각 72예(36.7%), 124예(63.3%)이었다. 조기 대장암 중 융기형, 편평형, 함몰형이 각각 161예(82.1%), 21예(10.7%), 14예(7.1%), 평균직경은 각각 23.1±15.7 mm, 30.8±19.2 mm, 12.9±6.3 mm이었으며 점막하층 침범이 각각 99예(61.5%), 11예(52.4%), 14예(100%), 주변조직에 선종이 없는 경우가 각각 18예(11.2%), 4예(19.0%), 8예(57.1%)였다. De novo 조기 대장암은 총 6예로 모두 점막하층을 침범하였고 융기형과 함몰형이 각각 3예씩 있었다. 결론: 조기 대장암 중 형태학적으로 융기형이 가장 많았으나 함몰형의 경우 크기가 작고 점막하층을 침범한 경우와 선종조직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한국에서도 적지만 de novo 조기 대장암이 발견되므로 향후 이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Recentl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early colon cancer (ECC) has increased, and the concept of de novo carcinogenesis of colon cancer was introduced.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in Korea. So we tried to find the incidence of ECC and the possibility of de novo colon cancer (DCC) in Korea. Methods: From Jun 1995 to Jun 2003, 3072 patients who first treated as colon cancer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We selected ECC by medical record review, and pathologic slides and endoscopic photos were reviewed to evaluate the underlying tissue of cancer focus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ECCs. ECC was defined as the cancer confined to mucosa or submucosa, and DCC was defined as the cancer lesser than 1 cm but had no adenoma component. Results: The 192 patients (6.3%) had 196 cases of ECC. The ratio of mucosal and submucosal (SM) cancers was 36.7%:63.3%. The protruded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82.1%). The depressed type was the smallest (12.9 6.3 mm), in size and 100% showed and SM involvement. It has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the cancer without underlying adenoma component (57.1%, p<0.001). The DCC were 6 cases and all were SM cancer and had 3 cases of protruded and depressed type each other. Conclusions: The most common shape of ECC was protruded type. However, depressed type was smaller and had higher rate of SM involvment and no adenoma component around the cancers. And we found some of DCC although the frequency was very l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linical Endoscop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