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直菴 조태환의 <화양구곡가> (Jikam Jo Tae-hwan's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直菴 조태환의 &lt;화양구곡가&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103호 / 237 ~ 268페이지
    · 저자명 : 박연호

    초록

    이 논문은 1826년에 편찬된 『直菴永言』에 수록된 직암 조태환의 시조 작품 중 <화양구곡가>를 대상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직암 조태환은 그의 처소가 있는 충남 아산 주변뿐만 아니라 경기와 서울 및 평양까지 많은 지역을 여행-특히 서원 탐방-하고 견문 및 감회를 노래한 작품이 많다. 또한 서울과 평양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행지는 선친이나 고조부와 관련된 유적, 친구나 종족이 있는 곳 등이다. 즉 그는 개인적인 일정 중 경로나 목적지에 있는 서원을 탐방하고 작품을 남긴 것으로 보인다. 그의 서원 탐방은 선현– 특히 노론 계열 –들의 행적을 찾아 그들의 삶과 이념을 되새기고 시조로 남김으로써 청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문명을 회복하고 풍속을 교화하는 것을 유학자인 자신의 직분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화양구곡가>를 시조로 창작한 것도 자신의 경험을 다중과 공유함으로써 유가 이념을 수호하고 풍속을 교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양구곡가>도 선친과 관련된 속리산 용화동 거북바위(龜巖)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친구의 집과 화양동을 탐방하는 과정에서 창작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直菴永言』 편찬 이전에 창작된 화양구곡시와의 비교를 통해 조태환이 지은 <화양구곡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8세기에 창작된 임상주와 권진응의 작품은 野蠻(夷狄, 淸)이 지배하는 무도한 현실에 대한 탄식과 文明(中華)의 회복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인 반면, 19세기에 창작된 박윤원과 성해응의 작품들은 화양구곡 경관요소의 이념적 의미와 경관의 아름다움에 주목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 또한 밝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9세기 초반에 창작된 조태환의 <화양구곡가>는 이들보다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강한 것으로 파악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wayanggugokga>, one of Jikgam Jo Tae-hwan's sijo works included in Jikam Yeongeon, which was compiled in 1826. Jikam Jo Tae-hwan's sijos draw from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impressions during his travels to various regions, not only around A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here he resides, but also to Gyeonggi, Seoul, and Pyongyang - with a particular focus on visiting Seowon. Additionally, most of his travel destinations, except for Seoul and Pyongyang, are places that hold significance for his family history, friends, or tribes.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he visited Seowon during his personal schedule, as it was along his route or a destination, and used these experiences to create his works. It can be inferred that he visited Seowon to reflect on the lives and ideologies of his ancestors, particularly those from the Noron lineage, as part of his mission to break free from the rule of the Qing Dynasty, restore civilization, and promote cultural enlightenment. Through his sijo works, he aimed to widely disseminate these reflections and ideas. <Hwayang Gugokga> was written by Jo Tae-hwan after visiting a friend's house and Hwayang-dong during a trip to Turtle Rock in Yonghwa-dong, Songnisan Mountain.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wayanggugokga> in comparison to the Chinese poems of Hwayanggugok created before Jikamyeongeon was compiled. The works of Im Sang-ju and Kwon Jin-eung, created in the 18th century, express lamentation for the brutal reality under Qing Dynasty rule and are pessimistic about the prospects of civilization's recovery. On the other hand, the works of Park Yun-won and Seong Hae-eung, created in the 19th century, focus on the ideological meaning and beauty of the landscape elements of Hwayang Valley, with a brighter outlook for the future. Cho Tae-hwan's <Hwayanggugokga>, created in the early 19th century, also shares similarities with the works of Park Yun-won and Seong Hae-eung, and is characterized by a stronger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