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 암막새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oncave eave-end roof tiles of Balh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5.07
32P 미리보기
발해 암막새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2권 / 335 ~ 366페이지
    · 저자명 : 정동귀

    초록

    본고의 목적은 그동안 연구가 미흡했던 발해 암막새에 대해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있다. 발해암막새는 대체적으로 암키와의 하단면을 의도적으로 두껍게 한 후, 시문구를 이용해 하단면 중앙에 횡방향으로 문양을 인각하고, 그 상·하에 빗금을 그은 공통된 도안을 보인다.
    발해 암막새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발해 암막새가 출토된 유적의 현황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발해암막새는 도성으로 기능했었던 발해 중앙지역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남경의 청해토성, 서쪽으로 서경의 신안고성, 동쪽으로 끄로우노브까강 주변의 사원지들, 북쪽으로 상경의 연통립자유지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모두 49개 유적에서 보고되었다. 유적의 현황을 파악한 후에는 각 유적에서 출토된 암막새가 가진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중앙문양을 기준으로 크게 8가지 형식으로 암막새를 분류했다.
    a형식(대롱문) 암막새는 가장 많은 유적에서 확인되며, 분포범위도 가장 넓다. 8세기 중반 이후 도성유적을 중심으로 등장했고, 9세기 말까지 넓은 지역에서 꾸준히 사용되었다. b형식(구멍문) 암막새는 a형식 암막새 다음으로 많은 유적에서 확인되었고, 분포범위도 비교적 넓다. 도성유적에서 월등히높은 빈도로 출토되어 팔련성, 서고성, 상경성에서 모두 창건와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b형식암막새는 발해가 서고성으로 천도하는 8세기 중엽경 제작되었고, 이는 발해 암막새 중에 가장 이른 형식으로 추정된다. c형식(대롱구멍문) 암막새는 상경성에서만 소수 출토되는데, 9세기 전반 후엽경에보수와로 사용됐다. d형식(삼엽문)과 e형식(사엽문) 암막새는 보리소브까 사원지에서 높은 빈도로 확인되는데, 9세기 중반경 중앙과 지방의 문화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다. f형식(다엽문) 암막새는 각 유적별로 형태를 달리하여 제작되었는데, d·e형식 암막새의 아류로 9세기 중반 이후에 일시적으로 제작되었다. g형식(‘十’형문) 암막새는 c형식 암막새와 함께 9세기 중반 상경성에서 보수와로 사용되었고, 9세기 중후반에는 남경의 성상리토성에서도 제작됐다. h형식(‘X’자문) 암막새는 8세기 말~9세기 초에 하남둔고분군에서만 묘상건축의 부재로 사용했다.
    이와 같이 중앙문양을 달리하여 발해 영역권 내에서 긴 시간동안 제작됐던 발해 암막새는 발해 이전국가에서는 비슷한 것이 확인되지 않아 그 원류로 볼만한 것이 없다. 이렇게 볼 때 발해 암막새는 발해인들의 독자적인 문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물질문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발해 암막새는 이후 12세기 여진에서 제작한 암막새에서 그 영향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concave eave-end tiles of Balhae variously that have insufficient study meanwhile. In case of concave eave-end tiles of Balhae, large number of that push cray of the body of concave tiles toward bottom side or add cray to bottom side to make bottom side thick. And engrave various patterns at the central of bottom side by using stamps in lines, a pattern of diagonal lines is made above and below of the central pattern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sites that concave eave-end tiles of Balhae have been discovered. Analysis result, it is 48 sites that concave eave-end tiles of Balhae have been reported. A ragne of those is, focusing on the center area, that the southernmost is Chunghae castle of Namkyung, westernmost is Shinan castle of Seokyung, easternmost is temples around Kronobka river, northernmost is Yuntongribja site of Sankyung.
    Concave eave-end tiles cab be classified into 8 forms by central pattern. It is assumed that these forms have certain spatiality and temporality. a type is discovered at the most sites and broadest range. After the mid-8th century. it appeared with capital sites as the center, was used continuously over a wide region until the late- 9th century. b type is appeared in the second place smaller than a type, a range is too. But in capital sites appeared much more. So it is estimated by conducting creation concave eave-end roof tile. It is assumed that this type appeared tn the middle-8th century when Balhae transferred capital to Seogo catsle. c type is excavated little in Sangyung castle. It was used as repair concave eave-end roof tile at in the middle-9th century. d type and e type are found at high frequency in Borisobka temple. these show central and local combined culture at early in the late-9th century. f type was producted by varying the shape in each sites, presume imitation of d and e types. After the middle-9th century, it was made temporarily. g type also was used as repair concave eave-end roof tile in the middle-9th century like c type.
    And the middle late 9th-century it was made in Sungsangri castle of Namkyung. h type was used in Hanamdun Tombs between the late-8th century and the early-9th century as architecture materials made over the grave. Thus, Concave eave-end roof tiles of Balhae that were produced for a long time within the territory of Balhae can’t find any similar and original form in any time and space excep tBalhae.
    In other words, Concave eave-end roof tiles of Balhae are typical material culture of Balhae that well shows the unique culture of Balhae. Such creative Concave eaveend roof tiles of Balhae can be found in Concave eave-end roof tiles of Jurchen which were made in the 12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