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나키스트 정화암의 독립운동 (Anarchist Jeong Hwa-am’s Independence Mov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4.05
44P 미리보기
아나키스트 정화암의 독립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6호 / 79 ~ 122페이지
    · 저자명 : 박나현

    초록

    이 논문은 정화암의 독립운동과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아나키즘 수용에 관한 연구이다. 정화암은 재중한인 아나키즘 독립운동사에서 있어 당대에도 상당한 위상을 차지했고 현재의 한국 아나키즘 독립운동사가 편찬되기까지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정화암에 대한 연구는 한국 독립운동사의 이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다.
    정화암은 3·1운동을 경험하며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뒤 중국에서 아나키즘을 수용했다. 그 후 1924년 북경에서 이회영, 이을규, 이정규, 백정기, 류자명과 함께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을 결성하며 최초의 재중한인 아나키즘 독립운동단체를 조직했다. 1931년 9월에 이르러 정화암은 상해에서 남화한인청년연맹을 결성해 한인애국단과 더불어 1930년대의 의열투쟁에서 한 축을 담당했다.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정화암은 임시정부 및 중국 인사들과 함께 일본에 맞서 싸웠다.
    이를 통해 살펴본 정화암의 활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화암은 일제와 중국이 주시한 한인 아나키즘 독립운동의 지도자였다. 그는 지속적인 아나키즘 독립운동을 전개해 왔다. 1930년대 이후 정화암은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을 기획·지도해 일제와 맞섰고 중일전쟁이 일어난 뒤에도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일제는 의열투쟁의 중심에 있는 정화암을 위험인물로 간주하며 그를 주시했다.
    둘째, 정화암은 3·1운동부터 8·15광복에 이르기까지 독립운동의 산증인으로 활동했다. 정화암은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한계를 모두 극복할 독립운동의 방략으로 아나키즘을 채택했지만, 각계 독립운동가와 깊이 교류했고 중국에서 전개된 대부분의 아나키즘 독립운동에 관여했다. 이러한 그의 경험은 독립운동 증언자로서 아나키스트 독립운동사의 복원에 기여했다. 지역적으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화남지역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을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정화암의 활동에 있어 중국 혁신 인사 및 임시정부, 흥사단 등 여러 항일인사와의 교류가 두드러지는 점에 주목해 보는 것이다. 그가 맺어온 국내외의 폭넓은 인적 관계를 통해 재중국 아나키즘 독립운동의 양상을 다시금 환기해 볼 수가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examines the life of Jeong Hwa-am and his contribution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Jeong Hwa-am held great significance in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among Koreans living in China. He also endeavored to publish The History of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 need to study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Jeong Hwa-am.
    Jeong Hwa-a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experiencing the March 1st Movement of 1919. Afterward, he accepted anarchism in China. In 1924, Jeong formed the Korean Federation of Anarchists which was the first Korean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group in China with Lee Hoe-yeong, Lee Eul-gyu, Lee Jeong-gyu, Baek Jeong-gi, and Ryu Ja-myeong. Subsequently, he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 movement in Quanzhou, China and published the official journal of the Federation titled The Conquest. In 1930, he led the efforts to build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while supporting Korean People’s Association in Manchuria. In September 1931, he organized the group called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in Shanghai and planned an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colonists. The organization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Ui-yoel-Tujaeng’ (literally, ‘heroic struggle’) in the 1930s along with Korean Patriotic Organization. Whe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ke out, Jeong Hwa-am cooperated with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hinese to fight Japa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e founded Joseon-Hakjeongwan and Shin-Chaeho Haksa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and preserve the relevant records. Then he returned to Korea, where he participated in various movements and anti-dictatorship activities based on his commitment to democratic socialism. He also wrote a memoir and an interview collection (Recollection of the Anti-Japan Movement by Revolutionists) while working on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y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Jeong Hwa-am’s contributions reflected in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Jeong Hwa-am was a leader of the Korean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China. He had steadfastly devoted himself to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and after the 1930s, he stood up against Japanese imperialists by organizing and leading heroic struggles by anarchists, which continued after the start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s such, Japanese imperialists monitored Jeong’s activities, considering him as a threat.
    Secondly, Jeong Hwa-am’s experience betwee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Liberation on August 15th made him a living proof of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Even though Jeong chose anarchism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tionalist and communist movements, he was deeply connected with independence activists across all factions and involved in most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These experiences made him an eyewitnes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y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his experienc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ed ligh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uanan region, which has been relatively less focused over the years.
    Thirdly, in the activities of Jeong Hwa-am, It should be noted that exchanges with many anti-Japanese officials such as China’s innovative personnel,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Young Koreans Academy(興士團) stand out. Through his extensive personal relationships at home and abroad, It can once again evoke the aspect of the a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