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말기 호락논쟁의 통합론 연구 - 醒菴 李喆榮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integration of the argument between Hohak and Nakhak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 placing emphasis on Seongam(醒菴) Lee cheol-yeong(李喆榮)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1.12
36P 미리보기
조선말기 호락논쟁의 통합론 연구 - 醒菴 李喆榮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0호 / 271 ~ 306페이지
    · 저자명 : 정성희

    초록

    성암(醒菴) 이철영(李喆榮: 1867~1919)은 조선 말기 호락논쟁에 대한 반성과 통합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성암의 『사상강설(泗上講說)』에는 성암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다. 성암은 호락논쟁의 주요 문제를 분석하고 정리하여, 양자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차이는 극복될 수 있는 것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호학과 낙학이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이론과 동론을 주장하지만 실은 그들이 말하는 성(性)이 대기(帶氣)한 것과 부대기(不帶氣)한 것으로 다르다는 것을 밝힌다. 결국 호학과 낙학은 같은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제 개념은 각기 다른 것이므로, 양자의 주장이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성암이 호학과 낙학의 통합을 위해 창안한 이론이 바로 동위이시론(同位異時論)과 성삼양설(性三樣說)이다. 이는 호학과 낙학의 동위동시론(同位同時論)과 이위이시론(異位異時論)의 논리적 불합리성을 지양하고, 외암의 미발론(未發論)과 남당의 성삼층설(性三層說)을 참고하여 창안한 이론이다. 성암의 이 이론은 논리적으로 충분한 설득력을 가지며, 양자의 통합 가능성을 보여준다.
    성암 사상의 논리적 근거는 율곡이었다. 호학과 낙학 모두 율곡에게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그 근본적 논리와 목적은 같다고 본 것이다. 한편 성암이 당시 일부의 성리학자들에게서 일어난 주리론이나 명덕심론 등에 대해서도 율곡의 학설을 근거로 하여 비판하고 있는 것도 새로운 학설로 인한 학계의 분열을 경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암의 학문적 성과는, 율곡의 학설을 추종하면서도 호락 양자에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설득력 있는 통합론을 창안해내어, 양자가 충분히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영어초록

    From 18th century Theory of Inmulsungdongi(人物性同異) was developed along while 200 years and became a focus of Neo-Confucianism(性理學) in Chosun Dynasty. Long period of the arguments brought dissension of academe, but trends of reflection and integration appeared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Seongam(醒菴) Lee cheol-yeong(李喆榮:1867~1919) was the leader who made successfully reasonable conclusion of the argument.
    In Sasanggangseol(泗上講說), a work of Seongam, he exposed intension to integrate the differences between Hohak(湖學) and Nakhak(洛學). Seongam tried to prove that the differences of the argument between Hohak(湖學) and Nakhak(洛學) could be gotten over by analyzing and adjusting it. In this work he made out that Hohak and Rakhak did not stand apart by the roots.
    Refering to Mibalron(未發論), Seongsamchungseol(性三層設) he made an original theory of Dongwiisiron(同位異時論) and Seongsamyangseol(性三樣說) which sublate irrationality of Dongwidongsiron(同位同時論) and Iwiisiron(異位異時論). The theory has persuasive opinion sufficiently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Hohak and Nakhak.
    He thought two concepts, Hohak and Nakhak, had the same purpose and rationality because they all were from Yulgok(栗谷). On the basis of Yulgok’s thoughts, he criticized other Neo-confucianism such as Myeongdeoksimron(明德心論) of Maesan(梅山), Myeongdeokjusimron(明德主心論) of Kanjae(艮齋) and Juriron(主理論) of Nosa(蘆沙), Hwaseo(華西). Through the studies he followed Yulgok’s thoughts and showed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the argument between Hohak and Nakhak from an objective viewpoint.
    Even though his scholarly results became unavailable with crumbling of Chosun, his academic contribution can be evaluated meaningful enough because he show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arguments on Hohak and Nak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