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巖 重遠의 普照⋅鏡虛 계승과 그 의미 (The Teachings of Hanam Joongwon (漢巖 重遠), Inherited by Those of Bojo (普照) and Gyeongheo, (鏡虛) and its Significan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漢巖 重遠의 普照⋅鏡虛 계승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23호 / 263 ~ 287페이지
    · 저자명 : 이상하

    초록

    한암의 禪사상은 普照 知訥 · 淸虛 休靜 내지 鏡虛 惺牛로 이어온 한국불교 전통의 捨敎入禪을 이어받은 것으로, 거의 禪의 절대적인 우위만을 주장하는 오늘날 한국 禪客들의 수행법과 다르다. 한암의 開悟와 보임의 과정이 그것을 실증한다. 한암은 경허의 가르침을 받고 경허의 禪사상를 계승하였지만, 무애행을 보인 경허와는 달리 戒⋅定⋅慧 三學를 모두 중시하였다. 이 점이 한암의 禪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경허가 정립한 禪수행의 지침은 『禪門撮要』에 집약되어 있다. 이 『선문촬요』 큰 특징은 普照 知訥의 저술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선문촬요』에 실린 보조의 저술을 『보조법어』라는 단행본으로 간행한 이는 한암이다.
    한암에 의하면, 禪의 開悟는 자성이 본래 비어 있어 자기 마음이랄 것이 없으므로 두두물물이 자기 아님이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한 번 확인하면 비로소 수행함이 없이 수행하고 정진함이 없이 정진하는 無爲行의 길이 열린다. 한암은 開悟를 통하여 無爲行을 할 수 계기를 얻은 다음 保任을 통하여 그 開悟의 경지를 더욱 확고히 지켰다. 이는 보조 이래 우리나라 禪수행 지침인 頓悟漸修를 몸으로 입증한 것이다. 또한 돈오점수는 看話禪의 宗匠인 大慧 宗杲와 蒙山 德異도 주장했던 것이다.
    退翁 性徹은 『선문정로』에서 견성을 모든 수행을 마친 妙覺의 경지로 단정하였으니, 묘각에 이르기 전의 수행은 여전히 꿈속을 헤매는 迷한 경계일 뿐이다. 따라서 묘각에 이르기 전의 수행은 모두 미망일 뿐이므로 참된 의미에서 수행이라 할 수 없게 된다.
    『禪門正路』와 같이 禪의 깨달음을 지극히 높은 妙覺의 지위에 올려 놓으면 어설픈 견성을 경계하고 수행의 강도를 더 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 그렇지만 자기 삶과 竝進하지 못하는 이러한 수행이 무슨 의미가 있겠으며, 실제로 가능하겠는가.
    한암의 돈오점수는 결코 『선문정로』에서 비판한 知慧宗徒의 주장이 아니다. 이는 중국과 우리나라 전통의 禪수행법을 잘 계승 발전한 것으로 오늘날에도 삶 속에 실천할 수 있는 한국불교 전통의 수행법으로 재조명되어야 마땅하다.

    영어초록

    The Seon (禪) teachings of Master Hanam originated from the Sagyo Ipseon (捨敎入禪, leave the doctrine and practice meditation)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followed by other Korean Buddhist masters, including Bojo Jinul (普照 知訥), Cheongheo Hujeong (淸虛 休靜), and Geongheo Seongwoo (鏡虛 惺牛). As the process of his Gaeo (開悟, enlightenment) and Boim (保任, post-cultivation after attaining enlightenment) demonstrates, Hanam’s teachings are distinct from the self-discipline methods being used by Seon practitioners today in Korea, which emphasize the absolute supremacy of Seon. Even though Hanam was taught by Gyeongheo, and inherited the Seon teachings of his master, he differentiated himself from Gyeongheo, who adhered to Muaehaeng (無礙行, unobstructed action of a sage), by focusing on Samhak (三學, the three supreme principles of precepts, concentration, and transcendental wisdom) as well. This point could be understood as one of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Hanam's Seon teachings. The guiding Instructions for Seon practice established by Gyeongheo are well concentrated in Seonmoonchwalyo (禪門撮要), an anthology of Buddhist sermons by Chinese and Korean monks. One of the most distinct features of the book is that it contains the writings of Bojo Jinul. It was Hanam who published the writings of Bojo Jinul in Seonmoonchwalyo in a separate book, titled Bojobeopeo (普照法語).
    According to Hanam, Gaeo (enlightenment) about Seon means understanding that there is no self-nature originally, but rather the self could be found in each one of the myriad of things. Once one realize this truth, one will reach Moowihaeng (無爲行), a state in which one could discipline oneself without having to discipline oneself. Hanam reached Moowihaeing through Gaeo, and deepened his Gaeo through Boim. This was how Hanam put into practicing Donojeomsu (頓悟漸修,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 guiding instructions of Seon practicing that has been upheld by Bojo Jinul and other Buddhist monks after him in Korea. Donojeomsu was also advocated by Dahui Zonggao and Mengshan Deyi, Chinese masters of Ganhwaseon (看話禪,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In his book Seonmoonjeongro (禪門正路), Toeong Seongcheol (退翁 性徹) defined that Gyeonseong (見性, seeing into self-nature) is the last stage of self-discipline, or Myogak (妙覺, marvelous enlightenment), and that practicing Seon before reaching Myogak is the same as wandering about inside a dream in state of bewilderment. Therefore, according to him, any Seon practice prior the stage of Myogak is done by Mimang (迷妄, the deluded mind) and therefor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true Seon practice.
    Some argue that defining the awakening of Seon as Myogak, the state with a high level of difficulty, will make Seon practitioners to step up their self-discipline rather than being satisfied with the incomplete stage of Gyeonseong. However, disciplining oneself without any possibility of personal life could be both meaningless and impracticable? Donojeomsu, argued by Hanam, is different from Jihyejongdo (知慧宗徒) as he criticized in Seonmoonjeongro. Donojeomsu is a method of Seon practice developed based on the traditional methods of China and Korea, and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Seon practice in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at could still be applied in everyday life in the present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