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현상학적 방법론 - 암묵적 앎과 디자인 패러다임 - (Desig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 Tacit Knowledge and Design Paradigm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2.06
15P 미리보기
디자인 현상학적 방법론 - 암묵적 앎과 디자인 패러다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8권 / 2호 / 1 ~ 15페이지
    · 저자명 : 고재성

    초록

    대상(현상)들이 먼저 떠올라서 그리면 그리는 것과그것의 인식은 ‘연역’이고, 그리면서 뒤늦게 대상(현상)들이 떠오르면 그리는 것과 그것의 인식은 ‘귀납’ 이다. ‘그리는 것과 그것의 인식’이 대상(현상)에 대한지각 경험이고, 이 의식의 경험 틀이 중첩된 기억 메커니즘이고, 디자인 현상학적 방법론이다. 그 틀 속에서 엠블럼이 그려지고 인식된다는 것을 암묵적으로알고 있다. 이 암묵적 앎이 전환된 디자인 패러다임이다. 따라서 연구는 인지과학적 계층으로 이루어진 디자인 현상학적 방법론을 디자인의 암묵적 앎으로 이해하고 디자인 패러다임이 인지과학적 앎으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함이 목적이다. 그려진 모든 것들은 연구의 대상이지만, 국가적 프로젝트로 그려진 올림픽 엠블럼이 연구의 범위이다. 목적 달성을 위한 방법은 연구의 대상을 중첩된 기억 메커니즘을 통해 분석하는것이다. 즉 연구의 대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의목적은 달성되기 때문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88 년~1992년 격변기를 거치면서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엠블럼을 시점으로 디자인 패러다임은 전환된다. 변화의 계기는 인지과학이다. 디자인 패러다임은이미 인지과학적 앎으로 전환되었다. 인지과학적 앎은의식하지 못할 뿐 체득된 디자인의 암묵적 앎이다. 현재 교육되고 있는 디자인의 명시적 지식이 암묵적 앎을 배제하지는 않았는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이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디자인의 본질을 인지과학이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f the objects (phenomenon) come to mind first and then draw, then the drawing and its recognition are ‘deduction’, and when the objects (phenomenon) emerge later while drawing, the drawing and its recognition are ‘induction’. ‘Drawing and its recognition’ is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object (phenomenon), the frame of this consciousness experience is the nested memory mechanism, and the desig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e tacitly know that the emblem is drawn and recognized within the framework. This tacit knowledge is a shifted design paradig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sign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composed of cognitive science layers as the tacit knowledge of design and to confirm that the design paradigm has been shifted into cognitive scientific knowledge. Everything drawn is the object of research, but the Olympic emblem drawn as a national project is the scope of research. The way to achieve the objective is to analyze the object of study through the nested memory mechanism.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achiev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research objec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fter going through a period of upheaval from 1988 to 1992, the design paradigm shifted with the emblem of the 1992 Albertville Winter Olympics as a starting point. The occasion to transform is cognitive science. The design paradigm has already been transformed into cognitive scientific knowledge.
    Cognitive scientific knowledge is the tacit knowledge of design acquired without being aware of it. It is time to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criticize whether the explicit knowledge of design currently being taught has excluded tacit knowledge. This is because cognitive science has already explained the essence of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