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진 유가의 지식론 연구 ― 유가 사상의 앎의 유형 고찰 ― (A Study on Knowledge Theory of Pre-Qin Period Confucianism – Reviewing Types of Knowledg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8.08
40P 미리보기
선진 유가의 지식론 연구 ― 유가 사상의 앎의 유형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95호 / 77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세종

    초록

    본 논문은 지식 체계로서의 유가 사상이 전제하고 있는 지식론을 검토하고, 앎의 유형이라는 측면에서 유가 지식 체계의 특성을 고찰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식’의 사전적 정의 하에 ‘앎’ 혹은 ‘안다’는 말의 의미는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논어』에 전제되어 있는 유가 지식체계의 속성은 무엇인가, 유가 지식론은 어떻게 확장되고 또 그것은 스스로 정립한 지식론에 근거하여 타당한 지식체계인가 등의 세부 주제를 논의하고자 했다.
    ‘안다’는 말은 고대그리스, 라틴어, 아랍어, 독일어 등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분화되어 있지만 그 중 대상에 대한 앎을 지칭하는 용어가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이는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지식의 두 가지 기준, 즉 알고자 하는 대상이 ‘있는 것’이어야 하고 인식 주체의 상태가 ‘틀리지 않음’의 상태여야 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 기준을 유가 지식론에 적용하면, 『논어』의 지식론은 앎의 대상을 사람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이 뚜렷한 특징으로 드러난다. 게다가 사람은 주관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행위한다는 점에서 사람에 대한 지식은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두 가지 기준 외에 이유알기 유형의 앎이 요청되었다.
    특히 이유알기는 방법알기와 대비됨으로써 그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었는데, ‘왜’의 물음을 취하는 이유알기와 ‘어떻게’의 물음을 취하는 방법알기의 결정적 차이는 지식 추구를 통해 얻게 되는 내용과 결과가 사람을 지향하는가 아닌가의 차이로 귀결되었다.
    앎의 두 유형 분류는 오랜 전통에서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를 각각 ‘道’와 ‘器’로 구분하는 「계사전」의 서술이 있었고, 그 외에 군자와 소인의 구분이나 大學과 小學의 분류도 이유알기와 방법알기의 맥락을 계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가 지식론이 갖는 뚜렷한 특징은 이유알기의 유형이며, 앎의 유형 분류는 지식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오랜 논쟁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으로 확장될 수 있었는데, 지식을 이유알기 유형으로 이해할 경우 지식과 실천 사이에 특정한 매개가 필요치 않으며, 그것은 선택과 의지의 문제라기보다는 아는가 모르는가에 의해 실천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지식과 실천의 굳은 결속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유가 지식 체계는 스스로 정립한 지식론에 비추어 정당하고 바른 지식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knowledge theory presupposed by Confucian ideology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ucian knowledge system in terms of types of knowledg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meaning of the word 'knowing' is understood under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knowledge', what is the nature of the Confucian system of knowledge prevail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how Confucian knowledge theory is expanded, and whether it is a valid knowledge system based on the knowledge theory established by oneself.
    Although the word 'know' i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contexts in various cultures such as ancient Greece, Latin, Arabic, and German, the terms commonly used to refer to knowledge of objects are common.
    This was related to the two criteria of Socrates' that the object to know should be 'existent' and that the state of recognition subject should be 'not wrong'.
    Applying this criterion to the Confucian theory of knowledge, the theory of knowledge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reveals that the object of knowledge is assumed to be a human-being.
    In addition, since a human-being is actively thinking, judging and acting with subjectivity, knowledge of human-being is requested to know the type of 'knowing-why' besides two criteria suggested by Socrates.
    Especially, the type of 'knowing-why' is clearly compared with the type of 'knowing-how'.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knowing-why' for taking the question of 'why' and 'knowing-how' to take the 'how' question is whether the result obtained through knowledge seeking is directed towards the person.
    In conclusi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Confucian knowledge theory is the type of 'knowing-why', and the classification of knowledge can be extended to the point that it can present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long debate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is judged that the Confucian knowledge system is building a just and right knowledge system in the light of the self - established knowledg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