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끄러움의 주체 구성의 장으로서의 증언 다큐멘터리: <히틀러의 비서>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 들> 분석을 중심으로 (German Testimony Documentary as a Venue for the Subject of Shame: in the Case of Blind Spot: Hitler’s Secretary (2002) and 2 or 3 Things I Know About Him (2005))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부끄러움의 주체 구성의 장으로서의 증언 다큐멘터리: &lt;히틀러의 비서&gt;와 &lt;그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 들&gt;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83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강경래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대 통일 독일에서 등장한 홀로코스트 증언 다큐멘터리가 독일사회 담론 속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질문한다. 그간 홀로코스트 증언에 대한 영상 기록은 잘 알려진 <쇼아>(Claude Lanzmann, 1985)에서와 같이 피해자증언을 중심으로 제작된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독일 통일 이후 2000년대에는 홀로코스트 피해자 증언이 아니라 나치와 직접 연루된 사람이나 그들의 가족 얘기를 다룬 다큐멘터리들이 다수 등장한다. 이들 작품은 무엇보다도 자신이 나치범죄에 연루되었다는 오랫동안 숨겨온 사실을 카메라 앞에서 증언 혹은 고백하는 형식을 따른다. 그렇다면 2000년대 독일 사회에서 이러한 다큐멘터리 증언혹은 고백이 지속적으로 등장해 온 배경은 무엇인가? 또한 이들은 통일 후 독일사회에서 변화된 홀로코스트 담론을 어떻게 반영하고 동시에 영향을 끼치는가? 그리고 이러한 증언이 카메라 앞에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이들 다큐멘터리 증언이 어떻게 독일 사회 내 전후 세대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담아내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2000년대 가해자 기억 다큐멘터리의 대표적 사례로서 <히틀러의 비서>(2002)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것들>(2005)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이들 작품 속에 활용된 증언과 고백, 그리고 영상 기록으로서의 사진과 홈비디오 푸티지 등이 나치 폭력의 가해자나 전후 세대로서의 증언자들이 지녔던 죄책감과 수치심을 어떻게 드러내며, 이 과정에서 독일 담론 지형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는 증언 다큐멘터리가 지닌 미디어적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이러한 미디어적 특성이가해자 증언과 고백을 어떻게 기록하는지 논의하고 나아가 영화 속 증언자뿐 아니라 영화 관객으로서의 전후 세대가 과거를 바라보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탐구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how the Holocaust testimony documentaries, which came out in the 2000s, reflect the changing cultural discourse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Video testimonies and related discourses tended to appear, particularly recording victims’ voices, as in the case of Shoah (Claude Lanzmann, 1985). However, German documentary films in the 2000s frequently depict people involved in the Nazis crimes and the perpetrators’ families, instead of conveying the voices of the Holocaust victims. Significantly, these documentaries adopt the mode of testifying or confessing in front of the camera when these perpetrators seek to reveal the long-kept secret regarding their involvement in Nazi crimes. Then, what is the background in which such documentary testimony or confession has continued to appear in German society during the 2000s? Also, how do they reflect and influence the Holocaust discourses that have changed in German society after the reunification? Considering that these testimonies are carried out in front of the camera, how do these documentary testimonies effectively capture the voices of postwar generations in German society? In an attemp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two documentary films, Hitler’s Secretary (2002) and 2 or 3 Things I Know About Him (2005) as representative cases that document the perpetrators’ memories in the 2000s. Through this, I seek to understand how testimonies and confession appeared in these documentaries disclose the guilt and shame that the perpetrators of Nazi violence and their children had to carry; and in so doing, how these films reflect (and influence) the changing geography of the German discourse on the Holocaust. My exploration will also highlight how the media aspects embedded in these documentary testimonies help change the way the postwar generations as movie viewers as well as witnesses in the film see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