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슈따디아이』 따디따(taddhita) 부분의 구조: 지역·종족 접미사(tadrāja)를 중심으로 (On the Architecture of the “Taddhita” Section of the Aṣṭādhyāyī with Special Respect to Tadrāja Suffix)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6.05
32P 미리보기
『아슈따디아이』 따디따(taddhita) 부분의 구조: 지역·종족 접미사(tadrāja)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21권 / 1호 / 179 ~ 210페이지
    · 저자명 : 박수영

    초록

    일부에서 간다라어 대신 간다리어 또는 간다리라는 잘못된 우리말 표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간다라 사람인 빠니니의 전거를 『아슈따디아이』에서 찾아보고자 한 개인적 관심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그런데 지명의 뒤에 첨가되어 그 지역의 언어, 사람, 문화 등을 의미하는 영어의 접미사 -an, -ese, -ish 등과 유사한 접미사에 대한 언급이 『아슈따디아이』의 2차 접미사 부분에 있다. 빠니니가 따드라자(tadrāja)라고 부르는 지역·종족 접미사는 빠니니 문법의 체계에서 단어 > 접미사 > 2차 접미사 > 지역·종족 접미사로 연결되는 계층구조의 종점에 위치하고 있다. 본고의 목적은 『아슈따디아이』 중에서 따디따 섹션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2차 접미사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현대적 의미의 접미사로 볼 수 있는 따디따가 속한 그룹의 구조분석이 『아슈따디아이』 전체의 설계 원리를 규명하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접미사의 다의성(多義性) 및 동의성(同義性)을 바탕으로 따디따 부분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약 4,000개의 수뜨라로 구성된 『아슈따디아이』에서 1,115개를 차지하는 최대의 섹션인 따디따 부분에는 일상 언어의 보편적 원리인 ‘반복의 회피’가 정밀하게 적용되어, 반복되는 주제어(adhikāra) 및 설명적 요소들을 생략(anuvṛtti)시키며 간결한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빠니니 문법체계의 기술적인 부분을 관통하는 기본적 원리는 간략성(lāghava)이다. 간략성은 전문용어의 조어, 수뜨라의 용어 선택 및 배열 등을 결정짓는 궁극의 원리이다. 여기에 다의성 및 동의성이라는 접미사의 특성이 전술(前述)한 정보의 생략 및 차단이라는 간략성 장치와 함께 작용하여, 따디따 부분에서 기계적으로 수뜨라들을 배열시키는 기능을 한다. 아디까라와 아누브릳띠가 전술한 요소를 생략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라면, 일반규정과 예외규정은 전술한 일반적 규정의 적용을 ‘차단’시키는 장치이다. 이상의 설계 원리를 적용하면 따디따 관련 수뜨라들의 배열 순서는 대부분 기계적으로 결정된다.

    영어초록

    The “Taddhita” section covers chapters four and five of the Aṣṭādhyāyī, and consists of approximately 1,115 sūtras. It contains many general rules which derive hundreds of lexemes, as well as specialized rules which derive a handful, and at times only one or two forms. The “Taddhita” section is subsumed under a larger section that deals with affixation morphology in general. This domain inclusion classifies the taddhita derivational suffixes as a subtype of a general suffix class which includes both verbal and nominal inflectional and derivational suffixes.
    So-called tadrāja suffixes, being added after a stem denoting a country or its king, are situated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of the derivational series, viz. word (pada) > suffix (pratyaya) > secondary suffix (taddhita) > provenance suffix (tadrāj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rchitecture of the “Taddhita” section of Pāṇini’s Grammar with special respect to tadrāja. Since, in my opinion, an investigation of the “Taddhita” section could be an effective shortcut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hole Aṣṭādhyāyī, I analysed the structure of this section using studies on the architecture of Pāṇini’s Grammar (Kiparsky 2002) and on the polysemy and synonymy of affix (Deo 2007).
    Almost all technical aspects of the grammatical system of Pāṇini are motivated ultimately by the fundamental requirement of simplicity (lāghava). Simplicity dictates the formation of technical terms, many basic analytic decisions, and the wording and grouping of rules. Throughout the grammar, rules of the same type are grouped together and the expressions which they have in common are omitted from each individual rule, and stated once and for all as a heading at the beginning of the group. Every rule that comes under the heading must then be understood as implicitly including the expression in the heading, in so far as it is compatible with the rule’s wording. Such major headings divide the Aṣṭādhyāyī into overlapping topical sections. In principle any shared property (trigger, target, intervening element, other conditions) may be the basis for such a automatic grouping of rules. Likened by the tradition to ellipsis in day-to-day speech, anuvṛtti is a device used in the Aṣṭādhyāyī for omitting information that is recoverable from immediately prior rules. Rules are compressed by systematically omitting partial elements that constitute them, because this information is assumed to continue from prior rules. Anuvṛtt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obtaining brevity in the formulation of the rules, while the utsarga-apavāda principle is used in the Aṣṭādhyāyī for the statement of default (general) and specific information. In rule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general condition is stated as simply as possible, and may be overridden by particular special case conditions, which apply over a restricted context. The default applies to all unspecified contexts that fit the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rule. The specific condition, apavāda, always overrides the general condition, the utsarga. I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inciples, the arrangement of the sūtras is automatically set in most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