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과 천황제 ― 미시마 유키오의 「여자는 점령당하지 않는다」와 오에 겐자부로의 『익사』를 중심으로 ― (Women and the Emperor’s System: Focusing on Mishima Yukio’s Woman Never Be Captured and Oe Kenzaburo’s Death by Wat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09
23P 미리보기
여성과 천황제 ― 미시마 유키오의 「여자는 점령당하지 않는다」와 오에 겐자부로의 『익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36호 / 49 ~ 71페이지
    · 저자명 : 이가현, 정병호

    초록

    1959년 황태자의 결혼은 대중천황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 이벤트였다. 약 4개월 동안 신문, 잡지, TV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는데, 특히 전후의 잡지 미디어 쇄도기와 함께 여러 잡지에 대중 스타로서 게재되어, 평민 출신인 황태자비 쇼다 미치코는 대중스타로 취급되었다. 이로 인해 천황은 국가의 절대적 지배자가 아닌 친근하고 자애로운 아버지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미시마 유키오와 오에 겐자부로는 천황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미시마는 패전과 함께 한낱 인간임을 선언한 천황에 대한 비판을 표현했고, 오에도 천황을 숭배하는 우익 소년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발표하여 논의를 일으켰다.
    대중의 존경과 영향력을 가지면서도 실질적인 통치 권한은 없는 ‘대중천황’의 이미지는 황태자의 결혼과 천황가의 미디어 보도를 통해 확산되었다. 이는 마이홈 주의와 가족의 안정적인 모습을 강조하는 미디어를 통해 전후 민주주의적인 가족 형태를 대중에게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천황은 자신의 권위를 견고히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천황제를 기반으로 한 가부장제와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미시마 유키오와 오에 겐자부로가 그린 여성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시마는 군림하는 여성, 오에는 비난하는 여성이라는 대극적인 여성 묘사를 통해 천황제 가부장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시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marriage of the crown prince in 1959 was a major event which created a glorious image of a popular emperor. For about four months, it was widely report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newspapers, and, especially in various magazines along with the post-war news. In this context, Princess Shoda Michiko, a commoner, was treated as a popular star. For this reason, the emperor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a friendly and benevolent father, not an absolute ruler of the nation.
    Meanwhile, Mishima Yukio and Oe Kenzaburo became known as writers who reacted sensitively to the Emperor's system. Mishima expressed criticism of the emperor, who declared himself a mere human being upon his defeat in the war. Oe also published a work featuring a rightist boy who worships the emperor.
    The image of a ‘popular emperor’ with public respect and influence but no actual authority to govern spread through the marriage of the crown prince and media reports of the emperor’s family. This was done by conveying the post-war democratic family form to the public through media that emphasized ‘My home-ism’ and the stable appearance of the family, and in this way, the emperor firmly established his author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riarchal system and women based on the Emperor’s system, and to this end, the images of women drawn by Mishima Yukio and Oe Kenzaburo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wo writers visualized the consciousness of the emperor's patriarchal system through the dramatic portrayal of the ruling woman in Mishima's work and the criticizing woman in Oe's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