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선도의 전개와 신종교의 성립 – 왜 한국에선 도교 교단이 성립되지 않았는가 – (Development of Korean Seondo(仙道) and establishment of korean new-relig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08.08
29P 미리보기
한국선도의 전개와 신종교의 성립 – 왜 한국에선 도교 교단이 성립되지 않았는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55호 / 139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용휘

    초록

    중국과는 달리 한국에선 왜 도교 교단이 성립되지 못했는가를 중심으로 한국 도교(선도)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한국에서 도교 교단이 성립되지 않은 이유를 아래의 여섯까지 요인으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 삼국시대에 도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았던 종교·문화적 배경, 즉 그와 유사한 선교적 요소가 이미 삼국에 존재했기 때문에 도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는데, 이것이 이후에도 도교 교단이 수립되지 못한 한 이유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둘째, 고려불교와 조선유교의 배타성을 들 수 있다. 셋째, 민중 반란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도 한 요인이다. 넷째, 도교가 무교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따로 도교가 형성될 필요가 없었다. 다섯째, 동학의 출현 이전까지는 종교적 귀재의 출현이 없었다. 그에 따른 교리적 중심이 형성되지 않았다. 여섯째, 억압적 권력에 저항하는 민중적 에너지가 도교보다는 불교의 ‘미륵신앙’으로 흡수․표출되었다. 이 중에서도 본고는 다섯째와 여섯 번째의 이유, 특히 미륵신앙에 가장 주목하였다.
    반면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는 당시의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탁월한 종교적 귀재의 출현과 유불선 합일, 인간평등 사상, 후천개벽이라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 등의 새로운 교리적 해석을 바탕으로 민중의 열망에 부응함으로써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였다. 이는 고대로부터의 ‘선’의 전통이 고려의 과의도교를 거쳐 조선에 와서는 지식인들에게는 내단수련으로 민중들에게는 한국 신종교라는 형태로 부활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신종교에는 당연하게도 고대의 선도적 특징, 즉 천신신앙(제천의식)과 수련전통, 삼교합일적이며 통합적․조화론적 세계관 추구라는 전통을 고스란히 이어받으면서도 지상에서 신선의 세계를 열어내고자 하는 현세적 유토피아의 열망과 극심한 혼란 속에서 고통받던 민중적 저항의 에너지를 수렴 · 확산함으로써 국가주도적이며 엘리트적 仙敎 전통을 비로소 민중의 종교로 승화시켰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 have closel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aoism based upon the fact why Taoism had failed to form Taoistic religious fraternity in Korea unlike in China. The reasons that Taoistic religious fraternity failed to be formed can get down on these following six ele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t first, during the Three-Kingdom Age, they had no such a need to affirmatively accept Taoism since they had already got such religious and cultural background over years as that of Taoism as far as seondo's factors are concerned. I think that is the reason why Taoistic religious fraternity failed to be formed after then. Second, the exclusivity of Buddhism in Koryo Kingdom an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can matter. Thirdly, there was relatively not many civil uprising experiences. Fourth, Taoism was absorbed into korean shamanism, therefore there was no need to form Taoism additionally. Fifth, no religious leader or pioneer had emerged before the emergence of Donghak. therefore there was no dogmatic formation therewith. Sixth, civil energy resisting oppressive authority was absorbed into and expressed in the form of Buddhistic 'mi-reak-shin-ang彌勒信仰' rather than Taoism.
    On the other hand, korean new-religions including Donghak had emerged to the front of history satisfying the aspiration of the civil based upon new dogmatic interpretation such as Confucian/Buddhism/Taoism unity, human equality thinking, hoo-cheon-gae-byeok, etc as well as emergence of outstanding religious leader in the era of local and overseas risky surroundings at the tim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radition of 'Seon' from ancient times went through 'Gwai Taoism科儀道敎' in Koryo Kingdom, and ‘Naedan training’ to the intelligent in Joseon Dynasty, and finally it has been resurrected to the folks as Korean new-religions. Therefore, Korean new-religions naturally includes ancient Taoistic characteristics, that is rituals to the Heavenly God, tradition of training, Three Religion unifying integrated and harmonious world view. At the same time Korean new-religions has succeeded to such traditions as they are, collected and expanded civil resistance energy torment under extreme disorder as well as aspiration for Utopia which aims to open a new Taoistic world on earth while lifting government-led and elite seondo's tradition into civil reli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