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지향상약물은 왜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는가? - 사회 철학적 분석과 전망 - (Why are not the cognitive enhancement drugs admitted officially? - Socio - philosophical analysis and prospect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8
27P 미리보기
인지향상약물은 왜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는가? - 사회 철학적 분석과 전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2호 / 359 ~ 385페이지
    · 저자명 : 오용득

    초록

    인지향상약물은 인류 전체적인 차원에서 많은 잠재적인 가치를 가지는 과학기술적 산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그것은 의약학적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고 그 사용도 자유롭지 않다. 사회 철학적 시각에서 그 이유를 분석하고 대안을 전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인지향상약물이 아직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는 하나의 유력한 이유는 인지향상약물 자체의 특성보다도 그것을 부정적으로 이미지화하는 능력주의 사회의 구조와 운영원리에 있다.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능력의 차이에 따른 차등적 분배가 정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 구성원들은 더 많은 몫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지만, 그 경쟁이 공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약물 인지향상이 경쟁의 규칙을 위반하는 부정행위로 간주되며, 인지향상약물이 부정행위와 연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이 능력주의 사회에서는 인지향상약물이 부정적으로 이미지화되어 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승인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만약 인지향상약물의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고 그 잠재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먼저 능력주의 사회운영원리를 폐기해야 한다. 그 대신 우리는 다른 사회운영원리를 마련해야 하는데,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을 깨뜨리지 않고 만들어갈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은 구성적 공동체이다. 이 구성적 공동체에서 인지향상약물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구성해가기 위한 반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생활필수품이 되고, 공동체의 선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공적인 재화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구성적 공동체의 조성은 인지향상약물을 공식적으로 승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회적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ognitive enhancement drugs(CEDs) are a technological product that may have many potential values to promote the welfare of all mankind. But still now they are not admitted in the official medical system, and anyone can not use them voluntarily.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why are not CEDs admitted officially and to prospect what are the social conditions to admit them officially.
    I think that the CEDs are not admitted officially because of the structure and working principle of the meritocracy to treat them bad. In the meritocracy, it is reasonable to distribute gradational share on one's merits, and so members are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o get more share. In this case, they have to compete upon a rule. So they regard the pharmaceutical cognitive enhancement as a cheating because it breaks the rule. In the meritocracy, therefore, the CEDs are involved inevitably in a cheating. That is to say, CEDs are treated as bad in the meritocracy.
    So it is very difficult to admit officially CEDs in the meritocracy. If we want to remove a bad reputation of CEDs and to realize potential values of them, firstly we must abandon the meritocracy and then establish a constitutive community members of which should not compete against each other to get more share but cooperate mutually to realize good of community. In this community, the CEDs would be the essential goods of life which members require to enhance their own reflecting ability to constitute themselve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be the common assets which are necessary to realize good of community. To constitute a constitutive community, ultimately, will be a social condition to admit officially the C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