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A Portrait of the Bodiless Worker - A Study of the Discourses of the 1980s South Korean Labor Literatu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5호 / 295 ~ 320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초록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노동과 공적인 시간이 아닌, 비일상적인 일탈의 시간 경험이나 기억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근대문학이 근대의 이원성의 세계를 구조화하고 있다면, 노동문학은 노동이라는 대표적인 공적인 시간에서 ‘의미’의 회복을 촉구한다. 그런 점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서사는 근대적 이원성의 극복을 요구한 서사시적 충동을 지녔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1980년대 한국의 노동문학(론)은 거기에 고유한 딜레마가 있음을 드러냈다. 그 딜레마란, 노동(자)을 사회적, 정치적으로 의미화, 정당화하기 위해 노동현장을 떠난, 노동하기를 멈춘 노동자를 불가피하게 그려야 하며, 또 불가피하게 그 내러티브는 노동으로의 복귀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당시 리얼리즘을 기율로 삼은 노동문학론에서 제기된 ‘총체성’ 또는 ‘전위’의 시각에 대한 요청이 지닌 딜레마로 드러났다. 1989년 발표된 홍희담의 「깃발」의 노동자 형상과 그것을 둘러싼 비평, 노동자 시인 박노해의 행로를 둘러싼 담론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1970년대 중후반 민주노조운동만이 아니라, 작중 시간으로는 미래인 1987년 노동자대투쟁까지 노동운동의 역사와 그것에 대한 급진적인 시각을 작품에 기입하였다. 그러나 이 작품의 총체성은 거기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광주항쟁’을 선진적 노동자의 역사순례의 시공이자 유훈으로 삼는 것을 통해 구현되었다. 한편, 1984년 『노동의 새벽』으로 찬사 받았던 그가 노동자전위조직의 전위로서 행한 언어적 문학적 역능에 기반한 선전활동은 노동현장과 자본-임노동의 모순을 뛰어넘어 분단과 통일운동, 광주항쟁 등을 포괄한 광범위한 것이었지만, 노동현실, 노동조직으로부터의 유리와 관념성이라는 이유로 비판받았다. 이 사례는 ‘노동자 시인’에서 더욱 중요하게 간주되는 신원이 ‘노동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달리 말하자면, ‘노동자’라는 사회적 신원이나 기원이 그의 언어적 문학적 활동에 제한이나 구속을 부여하는 기제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노동문학은 그 고유한 딜레마 속에서 창출된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을 궁극적으로는 억압함으로써 주체화 양식의 이름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를 사회적 기원의 동일성으로 돌려버리는 한계를 노정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was a dilemma in the labor literature that predominantly portrayed the higher, solemn objective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proletariat, as this could not be done without representing the hours that lie outside the temporal and spatial framework of the workplace, and how the mobility gained by abandoning the workplace should contribut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tion of the working class. This representative method or intention of the labor literature that emerged from the interaction of Marxist revolution theory with the mass movements of the Korean working-class in the 1980s inevitably divided the portrayal of workers into a vision of a revolutionary vanguard and of the collective bodies of the working class. A worker needed be more than his or her self, and this epic collectiveness of the proletariat was not easy to accomplish. When re-reading the critical discourses of Hong Hee-dam's novel The Flag (「깃발」), whose protagonist is a female factory worker who protested against a massacre by the military and died in a province building in the Gwangju uprising of May 1980, or when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Park No-hea, who transformed a worker into a poet and went on to became a revolutionary after the great labor struggle of 1987, it became strongly apparent that a portrait of the bodiless or non-working worker who speaks, reads, and writes about Marxist and revolutionary theories was repressed by the capital-state power, of course, and paradoxically under the name of the proletari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