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릴리안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2)의 한국소재 풍속목판화 제작 및 유통 연구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oodblock Prints on Korean Custom by Lilian May Miller(1895-1945))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7
23P 미리보기
릴리안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2)의 한국소재 풍속목판화 제작 및 유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39호 / 245 ~ 267페이지
    · 저자명 : 김효영

    초록

    릴리안 밀러(Lilian May Miller, 1895-1943)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1920년대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활동한 미국인 작가이다. 일본의 가노 토모노부(加能友信, 1843-1912)와 시마다 보쿠센(島田墨仙, 1867-1943) 문하에서 일본화를 수련하였고, 미국인 목판화가 버사 럼(Bertha Lum, 1869-1954)에게 목판화 제작방식을 익혔다. 작품의 주소재는 한국이었고, 한국 풍속과 풍경을 그린 작가로 명성을 알렸다.
    밀러의 일본화는 당대 일본화단에서 유행하던 화풍과 대작(大作)주의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 제2회 조선미전 입선작인 <조선식정>의 안개가 낀 듯한 배경처리와 “일본식 안개 효과(Japanese misty effect)”를 사용하였다는 기록에서 당시 유행 화풍의 반영이 확인된다. 출품작인 <금강산>과 <조선식정> 모두 전람회 출품을 목적으로 큰화폭에 그린 그림으로 대작주의의 영향이 뚜렷하다.
    동양을 중심으로 활동한 서양인 목판화가들의 영향으로 목판화 제작을 시작한 밀러는 1920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전개하였다. 목판화는 판매를 주목적으로 하였으며, 상업적 성격이 강하였다. 구매자들의 취향을 의식하여 수요가 많고 인기 있는 도상의 반복적 사용이라는 제작 틀 안에서 목판화를 생산하였다. 농촌 배경의 전근대적인 한국인의 모습과 풍속이 작품의 주소재가 되었고, 이렇게 제작된 한국소재 풍속목판화는 한국과 일본, 중국,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유통되어 수천 점이 판매 되었다.
    한국 내 작품 유통망은 주한 외국인들과의 교유관계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밀러는 서울유니온구락부와 서울구락부 내 사교활동을 통해 테일러(Taylor) 일가와 같은 주한 외국인들과 교유 관계를 맺었고 작품 판매 및 홍보의 기회를 얻었다. 한국과 중국 등지의 테일러 골동점에서 작품을 유통하는 등 판로를 확장하였다. 또한, 영국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의 회원으로 활동하여 한국미술에 대한 글의 집필 기회를 얻었으며 서울유니온구락부 여성회 목판화 강연자로 초청되는 등 다방면으로 주한 외국인들의 후원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 글은 릴리안 밀러 연구에서 누락되었던 작품 유통 관련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정리하고 1920년대 활동을 재조명하여 미진했던 연구를 보완하고 작품세계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Lilian May Miller, American artist, who was born in Tokyo, Japan, practiced artwork focused on Korea and Japan in 1920s. She studied Japanese painting under Kano Tomonobu(1843-1912) and Shimada Bokusen(1867-1942) and learned woodblock printing from Bertha Lum(1869-1954), American woodblock printing artist. The main subject of her artwork was Korea and she was recognized for paintings of Korean custom and landscapes.
    Miller’s Japanese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popular Japanese painting style and large-scale painting style. The influence could be found in the winning artwork of the Second Joseon Art Exhibition, <朝鮮式亭> with misty background and found in the documents that she frequently adopted Japanese misty effect in her paintings. Both entries, <金剛山> and <朝鮮式亭> were drawn in large canvas where influence from large-scale painting style is apparent.
    Miller started to work as woodblock printer in 1920s as a result of influence from western woodblock printers. Woodblock prints were mainly produced for commercial purpose. Miller produced woodblock prints with popular styles accommodating buyers’ tastes. Thousands of woodblock prints were sold throughout Korea, Japan, China and US.
    Distribution network in Korea were developed based on social networking among foreigners in Korea. Miller had opportunity to promote her prints through networking with foreigners such as Taylor family in Seoul Union Club and Seoul Club. Miller expanded market in Korea and China by distributing prints in Taylors’ Ye olde curio shops. Additionally, as a member of Royal Asiatic Society-Korea branch, Miller had an opportunity to write about Korean art and invited as a speaker for woodblock prints which implies patronage from various foreigner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is that it shed lights on the Miller’s artwork distribution network, patronage and activity in 1920s that were overlooked in th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