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작품 경향 연구: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를 중심으로 (Choreographic Trends in “12 Korean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Showcase”: A Focus on Male Choreographers of Korean Danc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3
33P 미리보기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의 작품 경향 연구: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0권 / 187 ~ 219페이지
    · 저자명 : 유승관

    초록

    본 연구는 ≪한국 현춤작가 12인전≫에서 남성 한국무용 전공 안무가들의 작품 창작 경향을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연팸플릿, 인터넷 뉴스라이브러리(newslibrary. naver.com)에서 관련기사를 1990년 까지 수집하다. 이후 각 회당 제전을 직접 관람하고 평론을 기술한 평론가들의 평문을 무용전문지 인 『객석』, 『공연과 리뷰』, 『댄스포럼』, 『몸』, 『무용한국』, 『춤』, 『춤과 사람들』에서 수집하여 정리하 다. 또한 이 제전에 다수 참가한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 및 인터뷰 가능한 안무가와 직접 면 인터뷰 및 이메일 서신을 실시하여 안무자의 작품 창작 배경 및 주안점 등 작가의 시각을 본 연구에 수용 정리 하다. 1987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현춤작가 12인전≫에 참가한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는 총 15명이 며, 작품은 총 26편이다. 먼저 민족 동포애와 가족애가 내용인 작품에는 국수호의 <북한강가에서>와 김승일의 <몫>이 있다. 인생무상(人生無常) 및 윤회(輪廻)가 내용인 작품은 국수호의 <빈배>, <국수호 의 볼레로>, <신의정원 Ⅰ- 무(無)>, 채상묵의 <회심곡>이다. 이상추구(理想追求)는 정재만의 <비천무> 가 있으며, 현실극복 작품에는 채상묵의 <마른 풀꽃의 소리>와 김윤수의 <가벼운 바람>이 있다. 진혼 (鎭魂)및 굿(제의) 형식은 국수호의 <면암의 명상>, 임관규의 <열(熱)> 이홍재의 <나비로워>, 김용철의 <흑살풀이>가 있다. 자아(自我)를 발견하거나 도야하는 주제적 특성이 나타난 작품에는 김용철 <단야>, 김정학의 <Shadow>, 한상근의 <비가(悲歌)>, 이경수의 <Ego>, 김남용의 <먼>이 있다. 이렇듯 1987년도부터 진행되어온《한국 현춤작가 12인전》의 남성 한국무용 안무가들은 개성이 강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종교적, 철학적 사유를 표현하는 춤을 발표해 왔다. 전체적으로 인간과 그 환 경에 한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한편, 여성 안무가들에 비해 남성안무가들의 비중이 많지는 않다. 그러나 이들은 각자의 삶의 방식과 경험을 토로 작가 정신을 표출하고자 하음을 알 수 있었 다. 한국무용 안무가로서 현춤 기법을 수용함에는 한국춤의 춤사위적 고유성을 표현하려 하기 보다는 한국의 분단현실이나, 작가 주변의 한국적 환경이 주제로 수용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in male choreographers’ work in Korean dance, as demonstrated in “12 Korean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Showcas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showcase before collecting and organizing critiques about the showcases from dance magazines, such as 『Auditorium』, 『Performance and Review』, 『Dance Forum』, 『MOMM』, 『Dance Korea』, 『Dance』, and 『Dance and People』. These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performance pamphlets and related news in the 1990s or earlier from the Internet News Libraries (newslibrary.naver.com). The researcher also interviewed and communicated via email with the choreograp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howcase. The interviews included questions about background information in creating the work, the focus of the dances, and their points of view. From 1987 to 2005, a total of 15 male choreographers in Korean dance participated in”12 Korean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Showcase,” composing a total of 26 performances. Gook Soo-Ho participated in the showcase eight times, including two repeat performances. As this showcase emphasized premieres, Jeong Jae-Man had three performances, Chae Sang-Mook had two performances, and Kim Yong-Cheol had two performances. The Other 11 choreographers had one performance each. The choreographers demonstrated various themes in “12 Korean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Showcase.” Performances with the themes of fraternity and love for family included “By the River in North Korea” by Gook Soo-Ho and “Share” by Kim Seung-Il. Performances with themes of nihil and samsara included “Empty Boat,” “Gook Soo Ho’s Bolero,” “Garden of God Ⅰ- Nought (無)”by Gook Soo-Ho and “Mind Purifying Music” by Chae Sang-Mook. “Dance in the Sky” by Jeong Jae-Man illustrated the pursuit of an ideal, whereas “Sound of Dried Wild Flowers” by Chae Sang-Mook and “Light Wind” by Kim Yoon-Soo tried to overcome reality. There were also themes of exorcism (ritual ceremony) for the repose of souls: “Meditation of Myeonam” by Gook Soo-Ho, “Fever” by Im Gwan-Gyu, “Like Butterflies” by Lee Hong-Jae, and “Black Exorcism” by Kim, Yong-Cheol. Finally, there were themes of discovery of the ego and self-training, including “Danya (Red Bellow)” by Kim Yong-Cheol, “Shadow” by Kim Jeong-Hak, “Sad Song” by Han Sang-Geun, “Ego” by Lee Gyeong-Soo, and “Far Away” by Kim Nam-Yong. Since 1987, male choreographers in Korean dance have demonstrated unique performances in “12 Korean Contemporary Dance Choreographers’ Showcase,” presenting dance performances with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peculation. Generally, they emphasize themes about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There are fewer female choreographers in Korean dance than male choreographers. However, female choreographers also try to show their spirit based on their lifestyles and experiences. As choreographers in Korean dance, they adopted the division of Korea and the Korean environment as a theme rather than showing the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movements in developing Korean contemporary dance techn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